theCFO

K-배터리 파이낸스 분석

동화일렉의 보물 '중국', 유럽·미국 확장 기반

[전해액]②2010년 사업 시작, 꾸준한 순이익 창출…작년 첫 76억 배당도

박기수 기자  2024-04-19 09:30:13

편집자주

광풍이 몰아쳤던 2020년대 초반을 지나고 국내 배터리 사업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유럽, 미국 등에서 전기차 수요가 감소하고 이에 배터리 관련 기업들의 수익 전망이 전보다 어두워졌다. 손익의 악화는 부정적이지만 '이보 전진'을 위한 성장통일 수도 있다. THE CFO는 2024년 현재 한국 배터리 밸류체인에 속한 기업들의 재무 현주소와 향후 과제를 짚는다.
동화기업의 전해액 자회사 동화일렉트로라이트(동화일렉)가 중국 자회사의 견조한 실적을 기반으로 유럽과 미주에 사업 영역을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동화일렉은 동화기업이 2019년 7월 1283억원을 주고 인수한 기업이다. 2009년 8월 '파낙스이텍'으로 설립된 동화일렉은 이차전지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전해액을 생산한다. 국내는 논산에, 해외에는 중국(톈진), 말레이시아(세나이), 유럽(헝가리), 미국(테네시)에 생산 기지가 있다.

동화일렉은 현지 자회사를 통해 생산 기지를 거느리고 있다. 각 사명은 △Dongwha(Tianjin) Electrolyte(동화톈진일렉) △DONGWHA ELECTROLYTE MALAYSIA SDN. BHD.(동화일렉말레이시아) △Dongwha Electrolyte Hungary Kft(동화일렉헝가리) △Dongwha Electrolyte America, Inc.(동화일렉아메리카) △Dongwha Electrolyte USA, Inc.(동화일렉USA)다. 동화일렉USA를 제외한 모든 자회사들의 지분율은 100%다. 동화일렉USA의 지분율은 58.08%다.

동화일렉은 회사 설립 직후인 2010년 중국에 진출했다. 톈진 지역에 '천진욱성전자유한회사'를 완공하고 전해액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2011년 11월 논산에 전해액 공장을 준공하고 국내 사업도 시작했다. 2012년에는 말레이시아에 진출했다. 2019년 9월에는 톈진에 전해액 2공장을 준공했다.


동화기업 인수 이후 동화일렉은 거래처인 이차전지 셀 제조업체들의 글로벌 진출세에 발 맞춰 유럽과 미주 지역에 생산 기지를 마련 중이다. 특히 전해액은 액체라는 특성 탓에 운송이 까다로워 현지 생산이 매우 중요하다.

공격적인 사업 진출의 기반은 중국 사업의 탄탄한 수익성이다. 중국 법인에서 유럽·미국 법인으로 현금이 이동하는 특별한 이벤트는 드물었지만 중국 법인은 동화일렉의 연결 재무건전성을 확보하는 데 큰 기여를 하는 중이다.

톈진 법인은 작년 매출과 순이익으로 각각 769억원, 149억원을 기록했다. 말레이시아 법인도 작년 매출 229억원, 순이익 28억원을 기록하며 활약했다.

톈진 법인의 실적은 동화일렉 별도 실적을 훨씬 웃돈다. 작년 동화일렉의 별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35억원, -27억원이었다. 자회사 실적을 모두 포함한 연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205억원, 169억원이다. 연결 순이익은 113억원이다. 사실상 현재 시점 동화일렉의 연결 실적은 톈진 법인이 대부분 만들어준 숫자라고 봐도 무방한 셈이다.


작년에는 톈진 법인으로부터 76억원의 배당도 들어왔다. 미국과 유럽 지역 투자를 늘려가는 동화일렉 입장에서 중국 법인의 현금이 신사업 진출지로 흘러갈 여지가 생긴 셈이다.

동화일렉의 미국·유럽 지역 확장세는 숫자로 확인이 가능하다. 작년 말 기준 동화일렉의 사업 지역 중 유·무형자산이 가장 많은 곳이 헝가리(544억원)와 미국(261억원)이다. 헝가리와 미국 지역 모두 아직 본격적으로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있지만 두 곳의 CAPEX 규모가 가장 많다.

헝가리 법인의 경우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생산이 시작될 전망이다. 미국의 경우 작년 6월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착공해 매출이 일어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


동화일렉의 유럽·미국 법인은 대부분의 시설 투자 자금을 차입을 통해 조달하고 있다. 동화일렉 본사에서도 일부 출자가 이뤄지고 있지만 투자액에 비하면 소액이다. 일례로 2022년과 작년 동화일렉이 종속기업에 출자한 현금은 14억원, 78억원에 그쳤다.

헝가리 법인의 재무활동현금흐름은 작년 59억원, 2022년에는 55억원을 기록했다. 2공장 증설을 위한 파이낸싱이 활발했던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190억원, 322억원을 재무활동으로 조달했다. 이 결과 작년 말 헝가리 법인의 부채비율은 1147%에 달한다. 비슷한 원리로 이제 막 투자가 시작된 USA법인의 부채비율은 작년 말 115.1%다.

신규 사업 영역으로의 현금 유출이 늘어날 만큼 기존 사업에서의 현금흐름 확보가 그만큼 동화일렉에는 중요해질 전망이다. 동화일렉의 기반이었던 중국 톈진 법인이 고민거리가 아닌 '믿을 구석'이라는 점은 희소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시리즈 모아 보기

K-배터리 파이낸스 분석

양극재
1엘앤에프, 운전자본관리 필요성↑…CFO의 묘수는
2업계 부진 속 선방한 에코프로비엠, 배경에 '삼성SDI'
3'ROE -0.64%', 에코프로비엠 부채 조달 새로운 고민
4'원가관리 혈안' 포스코퓨처엠, 현금 4조 홀딩스 뒷배
5코스모신소재, 나홀로 '평가손실 0원'…ROE 업계 최고
6LG화학, 재무라인 노하우로 양극재 수익성 '선방'
7양극재 5사 한 눈에 비교해보니, 엘앤에프 '적신호'
음극재
8재무 잠재력 넘치는 한솔케미칼, 보수적 기조 틀 깰까
9'음극재 투자' 엠케이전자, 아쉬운 기초체력
10애경케미칼, 업황 부진 실감…차입부담 수면 위로
11음극재 기업 재무지표 한 눈에 보니, 한솔케미칼 '우수'
12'4월 상업 생산' SKMG14, 지주사 자금력에 쏠리는 눈
13대주전자재료, CAPEX 비중 70% 돌파…이자부담 '심화'
전지박
14SK넥실리스, 자회사 증자에 재무 체력 '흔들'
15SK넥실리스, 전방위 조달 필요성…SKC 증자 가능성은
16운전자본·증자·매각…솔루스첨단소재 조달 '고군분투'
17'재무체력 우수' 롯데EM, 배터리 캐즘 극복 청신호
18롯데 전지박 큰그림 속 조용히 힘 키우는 '롯데정밀화학'
19후발 주자 케이잼의 든든한 버팀목 '고려아연'
20'롯데·SK·솔루스' 재무 한눈에 보니…CAPA가 실적 갈라
분리막
21SKIET, 성장과 영업현금흐름 창출력의 '미스매칭' 심화
22'알짜' 더블유씨피, 업계 강자로 발돋움
23투자했는데 가동률은 '뚝', 대규모 감가에 SKIET '고심'
전해액
24엔켐, 운전자본 '다이어트'…투자 재원 마련 묘수
25동화일렉의 보물 '중국', 유럽·미국 확장 기반
26솔브레인홀딩스, 미국 법인에 전폭적 지원
27SK온의 묘수, '현금 많은 자회사와 합병설'…엔무브 외 후보는
28SK온, 올해 '9조' 조달 필요…현금흐름 역추적해보니
29SK이노, 올해도 자금 수혈할까…배당·자산매각 관건
30SK온, 원가 개선 좋았던 흐름…캐즘에 다시 발목
31매출 대비 원재료비 비중, LG엔솔 '60%대 유지'
32LG에너지솔루션, 올해 조달 얼마나 할까
33LG에너지솔루션, 캐즘 버틸 재무 체력 '여유'
34움츠렀던 삼성SDI, '캐즘' 찾아오자 투자 기지개
35배터리 3사 재무 한 눈에 보니, 성장의 SK·내실의 삼성
양극박
36삼아알미늄, 여전한 시장 관심에 PBR 4.5배
37롯데알미늄, 운전자본 조절에도…FCF 3년 연속 적자
38업황 악화에도 돈 잘 버는 동일알루미늄
39침체기에 일제히 매출 감소, 선방한 동일알루미늄
배터리 캔
40참치에서 배터리로, 동원시스템즈의 변신…재무 체력 충분
41상신이디피, 내실 갖추며 성장도 '착착'…ROE '20%'
42신흥에스이씨, 삼성SDI 등에 업고 꾸준한 외형 성장
43부품사 열전 '동원·상신·신흥' 재무 비교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