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블록세일 이후 남은 지분은 56.97%였다. 정부는 더 이상 지분을 쪼개팔지 않고 경영권을 포함해 잔여지분 전체를 처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2004년 이후엔 4차례의 블록세일과 공모 등을 통해 꾸준히 보유 지분을 낮추는 데 초점을 맞췄고 2010년부터는 본게임에 들어가 지분을 한꺼번에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2010년 7월 30일 금융위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민영화 방안을 의결하면서 진정한 민영화 시도가 시작됐다.
정부는 총 4차례에 걸쳐 민영화를 추진했으나 결론적으로 말해 유효경쟁이 성립하지 않아 모두 불발됐다. 2010년, 2011년, 2012년에는 정부 보유 지분을 한꺼번에 파는 일괄매각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분 30% 이상을 한꺼번에 팔면서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붙이려다 보니 마땅한 투자자를 찾지 못했다. 입찰에 참여한 금융사들이 제대로 자격을 갖추지 못했거나 경영권 인수 의사가 없는 소수 지분 입찰자들이 다수 참여하는 일들이 많았다.
2010년 10월 29일 1차 민영화 공고엔 총 11곳이 몰려들었다. 이 가운데
하나금융지주가 인수 의사를 표시했고 우리금융지주도 컨소시엄을 구성해 독자 민영화를 추진하겠다고 나섰다. 정부는 이 둘 중 한 곳에 팔길 원했지만 결국 이뤄지지 않았다. 하나금융지주는 돌연 외환은행 인수로 마음을 바꿨고 우리금융지주의 경우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에게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요구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예비입찰을 포기했다. 결국 정부는 우리금융 민영화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2011년 5월 18일 다시 우리금융 매각공고가 났다. 2차 민영화 시도였다. MBK파트너스만 입찰에 참가했다. 사실상 초기엔 산은금융지주(현 KDB산업은행)가 인수 후보로 거론됐었다.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대형 국책은행을 만들려고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강하게 일었다. 결국 정부는 공고를 낸 지 한 달도 안 돼 산은금융을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매각전에선 이미 김이 빠져버렸다.
2012년 4월 30일 우리금융지주의 세 번째 민영화 막이 올랐다. 이 때는 KB금융지주가 강력한 후보로 떠올랐다. 하지만 당시 정치권과 KB국민은행 노동조합 등 반발이 거셌고 연말엔 대선까지 앞두고 있어 여러모로 부담이 컸다. 이에 KB금융지주는 예비입찰에도 참여하지 않았고 KB금융지주 뿐 아니라 그 누구도 나서지 않았다. 이렇게 매각이 또 무산됐다.
잇단 매각 실패에 따라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013년 6월 일괄매각 방식을 포기하고 3단계 분리 매각을 들고 나왔다. 우리투자증권·우리아비바생명·우리저축은행을 ‘패키지’로 묶어 팔고, 광주은행과 경남은행을 각각 팔겠다는 방안이었다. 우리은행은 맨 나중에 팔기로 했다.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우리금융지주의 14개 자회사들이 팔렸다. 우리투자증권 패키지는 NH농협금융지주가 인수했다. 광주은행은
JB금융지주 품에, 경남은행은
BNK금융지주 품에 안겼다. 이 과정에서 우리금융지주는 해체했고 우리은행에 합병됐다. 존속법인이 우리은행이었다.
정부는 2014년 9월 네 번째 우리은행 경영권 지분 매각 공고를 내놓았다. 그해 11월 예비입찰 마감 결과 예비입찰제안서를 제출한 곳은 중국의 안방보험 한 곳이어서 유효경쟁입찰이 성립되지 않았다.
당일 오전까지 매각 의사를 결정하지 못했던 교보생명은 마감 20여분을 앞두고 인수 포기 의사를 밝혔다. 이렇게 일괄매각 마지막 시도도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