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의 지주회사 SK와 소그룹을 이끄는 SK디스커버리가 배당정책을 두고 행보를 달리한다. SK는 배당금액을 보고 투자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선을 추진한다. SK디스커버리는 중간배당을 개시하는 등 주주환원에 대한 노력은 꾸준하지만 당장 '깜깜이 배당' 정책에는 손대지 않기로 결정했다.
◇SK그룹, 소그룹별 배당정책 다른 길SK그룹은 최태원 회장의 SK와 최창원 부회장의 SK디스커버리가 독립 경영하는 지배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최 부회장은 SK디스커버리를 구심점으로 소그룹을 형성해 바이오와 케미칼사업을 이끈다.
9일 기준 SK디스커버리와 SK는 올해 정기주주총회에서 다룰 안건을 확정했다. SK는 SK디스커버리와 달리 의결권 기준일과 배당기준일을 분리하기 위해 정관을 변경하는 의안을 부의했다. 해당 안건이 가결되면 2023년 결산배당부터 SK 투자자들은 배당금액을 투자판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그동안 기업들은 결산기 말일에 정기주주총회 소집을 위한 의결권 권리 주주와 배당 주주를 함께 확정해 왔다. 배당여부와 배당금은 결산 이후에 개최되는 정기주주총회에서 결정되는 만큼 배당수익의 예측가능성이 떨어지는 점이 문제였다. 연초에 금융위원회는 국내 배당 절차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제도 변화를 예고한 상태다.
SK디스커버리 산하 상장사들도 자발적으로 제도 변화에 따르진 않는 모습이다. △SK케미칼 △SK가스 △SK바이오사이언스 △SK디앤디 등 상장 계열사 4곳 역시 정기주주총회에 배당절차 개선 관련한 의안을 상정하지 않았다. 이들 가운데 SK바이오사이언스를 제외하면 모두 5년 연속 배당을 실시하고 있다.
◇SK는 분기배당 기준일도 선제적 개선, SK디스커버리는 아직SK디스커버리에 속한 상장사들은 작년부터 정관에 중간배당 근거규정을 신설하면서 분기배당도 지급하고 있다. 자본시장법에 따르면 중간배당 역시 배당액을 정하기 이전에 권리 주주를 확정해야 한다. 금융위원회는 상반기 안에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발의해 분기배당액을 확정한 이후에 권리 주주를 확정하도록 업무 효율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자본시장법이 개정되기 전이지만 중간배당 기준일을 분기 말일과 분리하는 내용을 정관에 반영할 수는 있다. SK디스커버리와 분기배당을 실시하는 상장 계열사 3곳은 이와 관련한 개선 움직임 역시 보이지 않고 있다. SK가스의 경우 기존 자본시장법에 따라 중간배당 시행 시점을 반기 결산 직후인 7월 1일로 명시할 방침이다.
반면 SK의 경우 이번에 중간배당 기준일도 이사회 결의로 정할 수 있도록 정관을 손본다. 지분구조상 SK 밑에 속하는 상장사는 총 13곳이다. 이 가운데 모빌리티 소재와 부품 사업을 책임지는 중간지주회사 SKC도 SK 기조에 따른다. 의결권 기준일과 배당기준일 분리를 추진하고 분기배당 기준일도 이사회가 정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을 마련할 계획이다.
SK디스커버리 산하 계열사들은 당장 배당 절차를 개선하진 않지만 주주환원 정책을 수립해 배당의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노력은 보여주고 있다. 2021년에 일제히 중장기 배당정책을 공개했으며 3년 주기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현재 신사업과 연구개발 투자 재원이 필요한 SK바이오사이언스 정도가 원론적인 수준에서 배당정책을 언급하고 있다.
지난해 SK디스커버리는 매년 주당배당금을 우상향하겠다는 약속은 지켰다. 2021년에 1500원이던 보통주 배당금은 지난해 1700원으로 높아졌다.
계열사 중에서는 SK가스가 별도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성향 20~40% 목표를 2년 연속 채웠다. SK케미칼은 별도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성향 30%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여기에 지난해 500억원어치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면서 현금 배분 효과를 높였다.
SK디앤디의 경우 SK디스커버리와 동일하게 주당배당금의 점진적 상향을 추구한다. 작년에는 당기순이익이 직전 사업연도 대비 43% 감소했으나 주당배당금은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