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DGB금융 차기 리더는

권광석 "금융지주, 은행 패권 전쟁화…새로운 메기 전략 필요"

추진력 강점 지닌 권 전 우리은행장…시중은행 전환 이끌 적임자 평가

이재용 기자  2024-02-15 13:22:27
DGB금융지주 차기 회장 후보군으로 선정된 권광석 전 우리은행장(사진)에 대한 업계의 평가는 '추진력이 강하고 선이 굵은 리더'이다. DGB금융이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이라는 최대 과제를 풀 '해결사'가 필요한 시점인 만큼 그의 강력한 리더십이 큰 강점으로 발휘될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통상 내부 후보가 유리하다고 여겨지지만 권 전 행장은 우리은행장 선임 당시 이변을 일으킨 전례가 있다. 무엇보다 최근까지 5대 시중은행장을 지내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과 성공을 이끌 적임자로 꼽힌다. 후보자 검증의 최대 관건이 성공적인 시중은행 전환을 이끌 역량으로 꼽히는 점도 변수다.

◇최근까지 시중은행장 지내…그룹 새 비전, 성장 계획 세울 최적 인물

권 전 행장은 15일 더벨과의 통화에서 "새로운 디지털 환경 등 세상의 환경 변화에 따라 신사업과 성장 기반을 갖춰 국부를 창출하고 국민에게 희망과 상생을 나눌 수 있는 금융그룹을 키우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에 대해서는 "패권 전쟁화 돼 있는 금융지주, 은행 사이에서 국민과 상생할 수 있고 희망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메기가 되라는 건데 기존 패턴을 답습하면 승산이 없다"며 "인터넷뱅크 등 빅테크 플랫폼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매머드급의 시중은행들이 이미 자리를 잡은 상태에서 DGB가 똑같이 규모의 경제 전략을 되풀이하면 승산이 없다는 게 권 전 행장의 시각이다. 이는 비교적 최근까지 시중은행을 이끌면서 시행착오 등 숱한 경험을 통해 도출한 전략이다.

권 전 행장은 지난 2022년 2월까지 5대 시중은행 중 한 곳인 우리은행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차기 DGB금융 회장 앞에 놓인 최대 과제가 대구은행을 시중은행으로 전환하고 성장시킬 사업 비전과 계획을 수립하는 것인 만큼 권 전 행장의 이력이 이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권 전 행장은 상업은행 출신으로 지난 1988년 입행해 우리은행에서 IB그룹 겸 대외협력단 집행부행장을 역임한 후 우리PE 대표이사와 새마을금고중앙회 신용공제대표이사 등을 거쳐 2020년부터 2년간 우리은행장을 역임했다. 이후 우리금융캐피탈 고문으로 자리를 옮겼다.

◇카리스마형 리더로 숱한 난제 해결 경험

현재 DGB금융에 필요한 것은 안정이 아닌 도전인 만큼 해결사가 필요하다는 점도 권 전 행장을 주목하는 요인이다. 권 전 행장을 경험한 금융권 관계자들은 그를 카리스마형 리더로 평가한다. 추진력이 강하고 직원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인물이라는 설명이다.

권 전 행장은 새마을금고 신용·공제대표 시절 MG손해보험 자본확충, 블라인드펀드 출자 등 숙원사업을 풀어내면서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라임자산운용 사태라는 악재 부딪힌 우리은행의 특급 소방수로 임명됐다. 코로나19와 DLF펀드 사태 등으로 어려운 경영환경이었음에도 빠른 속도로 실적 개선과 소비자 신뢰 회복을 이뤘다.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차원에서 ACT(Agile Core Team) 조직체계를 신설해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굴, 추진하고 허브앤스포크 제도인 VG(Value Group) 제도를 안착시켜 영업력을 강화하는 등 불과 2년 사이 적잖은 성과를 냈다.

그 결과 우리은행은 권 전 행장 임기인 2021년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으로 전년 대비 74% 증가한 2조3755억원을 기록했다. 누적 순이자마진(NIM)은 1.42%로 전년 말 대비 0.13%포인트 상승했다. 수익성을 강화하면서도 NPL 비율은 0.20%, 연체율은 0.19%로 각각 0.12%포인트, 0.06%포인트 개선해 내는 데 성공했다.

외부 출신이라는 점은 약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권 전 행장은 우리은행 선임 면접 당시 외부 시선으로 은행의 문제점을 전달하면서 최종 낙점된 전례가 있다. 게다가 DGB금융은 금융당국의 모범관행에 따라 절차상 내외부 후보 간 차별을 해소하는 데 만전을 기하고 있는 만큼 형평성과 최대의 기회가 보장될 것이라는 점이 긍정 요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