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유니콘 파이낸셜 스토리

간편결제 '페이' 살리기, 당근마켓의 선택은

③2년간 150억 수혈에도 '순손실' 지속…'이용자 확대→점진적 수수료 부과' 방향 거론

박동우 기자  2023-05-10 17:05:18

편집자주

'유니콘(unicorn)'은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사를 뜻한다. 현재 국내에는 23곳의 유니콘 기업이 포진해 있다.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혁신적 사업 아이템만 있었던 건 아니다. 자금을 확보하고 비용을 제어하는 최고재무책임자(CFO)의 분투도 유니콘 기업의 성공 신화를 뒷받침했다. THE CFO는 국내 유니콘 기업의 재무 구조와 CFO 면면을 살펴본다.
중고품 거래 플랫폼 운영사 당근마켓은 수익원의 다변화 문제를 중요하게 인식했다. 경영진은 '간편결제 서비스'를 신성장 동력으로 점찍었다. 당근마켓은 자회사 당근페이에 2년 동안 150억원을 수혈했다.

당근페이 이용자 수가 500만명 수준까지 빠르게 늘었지만 순손실을 피하지 못했다. 고객을 유치할 목적으로 수수료를 걷지 않아 수익이 미미했기 때문이다. 당근페이를 살릴 해법은 무엇일까. 유력 간편결제 솔루션과 대등한 수준까지 사용자 수를 끌어올린 뒤 점진적으로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향을 택할 전망이다.

◇'무료 송금' 앞세워 500만명 유치

당근마켓 계열사 가운데 경영진이 가장 공들이는 회사는 '당근페이'다. 간편 결제·송금 서비스 당근페이를 운영하는 데 초점을 맞춘 기업이다. 중고품 거래 이용자를 자사 모바일 플랫폼으로 확고하게 끌어들이는 록인(lock-in) 효과를 거두는 취지가 반영됐다.

지역 주민 간의 상거래를 연결하는 '로컬 커머스'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비전에도 부합했다. 읍·면·동에 포진한 다양한 상점을 소개하는 '동네가게' 서비스와 접목해 상권 소비자들이 당근페이로 물품을 구매하는 밑그림을 그린 대목과 맞닿아 있다. 당근페이 이용자들이 많아지면서 늘어나게 될 선불충전금을 금융기관에 예치해 이자 수익을 창출하는 부가 효과도 염두에 뒀다.


글로벌 시장 사업자 행보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일본 1위 중고 거래 플랫폼 운영사인 '메루카리(Mercari)'의 간편결제 서비스 메루페이(Merpay)가 대표적이다. 처음에는 지역 상점과 소비자간 거래에 국한했으나 △온라인 결제 △후불 결제 △소액 대출로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당근마켓은 2021년에 30억원을 출자해 당근페이를 설립하며 간편결제 사업의 신호탄을 쐈다. 같은해 11월 제주도에서 시범 서비스를 선보였다. 여세를 몰아 2022년 2월에는 서비스 권역을 전국으로 넓혔다. 확장에 부응해 당근마켓은 증자 방식으로 123억원을 추가 지원했다.

당근페이는 중고품 거래를 하면서 발생하는 송금 수수료를 '제로(zero)'로 책정하는 승부수도 띄웠다. 소비자들의 서비스 이용 장벽을 낮추는 계산이 깔렸다. 고객 기반을 두텁게 다지는 전략은 순항 중이다. 정식 서비스를 론칭한지 1년이 지난 올해 5월 기준으로 당근페이 누적 가입자 수가 500만명에 육박하는 대목이 방증한다.

◇당근마켓 "페이 적자, 성장국면에서 불가피"

하지만 뚜렷한 수익 창출원을 구축하지 않은 상황에서 '송금 수수료 면제'를 유지한 탓에 당근페이의 실적은 악화했다. 2021년 설립 첫해 매출은 발생하지 않았고 지난해에는 9억원을 올리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순손실은 17억원에서 80억원으로 4배 넘게 불어났다.

당근페이 순손실은 고스란히 지분법손실로 반영됐다. 지분법손실은 영업외비용으로 포함되고 모회사인 당근마켓의 순손실 확대에 영향을 끼쳤다. 2022년 영업외비용은 114억원으로 2021년 23억원과 견줘보면 5배 가까이 불어났다. 같은 기간 당기순손실 역시 364억원에서 540억원으로 48.4% 증가했다.


종속기업 손실이 계속 쌓이며 당근마켓은 이연법인세자산도 인식하지 못했다. 회계상 법인세비용보다 세법상 내야 할 법인세가 더 많을 때 생기는 차액이 이연법인세자산이다. 이월세액공제 등을 활용해 미래 세액을 깎거나 돌려받을 수 있는 속성을 지닌다.

2021년 말에는 이연법인세자산으로 인식하지 못한 금액이 23억원이었으나 지난해 말 128억원으로 급증했다. 앞으로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확실치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당근페이가 수익을 창출할 돌파구는 '수수료'다. △지역 상점 물품 구매 △광고주들의 비용 납입 △청소·세탁 등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등 다방면으로 당근페이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용자 수가 유력 간편결제 플랫폼과 대등한 수준까지 늘어나면 수수료를 부과하는 사업 모델을 본격 추진할 전망이다.

당근마켓 관계자는 "사업 확장을 촉진키 위해 인프라·마케팅·인력 관련 투자를 늘리면서 당근페이가 순손실을 겪었다"며 "계속 성장을 추구해야 하는 만큼 현 단계에서 당근페이의 수익화를 거론키는 조심스럽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