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김필규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현재 한·미 금리차 모양이 이상한 건 사실입니다. 국가 신용등급 등 여러 측면에서 미국보다 한국의 체력이 밀리는데 오히려 금리까지 낮은 건 기형적인 형태죠. 특히 과거에 비해 격차가 커진 게 가장 큰 문제인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이는 두 가지 방법으로 해결되는데 우리가 금리를 올리거나 연준이 금리 내리거나 하는 방향입니다.
이때 한국은행은 통화정책 부분에서 딜레마를 겪을 우려가 있습니다. 금리를 서서히 올리는 게 어느정도 바람직하긴 한데 현재 경제가 둔화된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는 게 쉽지 않은 선택일 겁니다. 인플레이션 이슈에 연준 금리 인상 등 다양한 면에서 보면 금리 올릴 가능성이 있지만 가계 부채 때문에 망설이게 될 것 같습니다.
현재의 금리차는 이미 환율 등에 기반영돼있다 보니 단기간 이슈로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당장 해외로 국내 외화 자금이 대거 빠져나가거나 하는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채권 시장 투자자들은 단순하게 국가간 이자율만 보는 게 아니라 양쪽 환율 밸런스 등도 보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빠져나가진 않을 겁니다.
다만 장기화되면 문제입니다. 금리 낮추는 걸 미루거나 하면 우려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생기죠. 미국이 금리가 높은 상황이고 국가 신용도도 높다 보니 장기적으로 보면 환율에 추가 반영이 되거나 기타 자금 유출입에 영향이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김일구 한화투자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
대내외 금리차 영향이 없다 할 수도 없지만 금융시장 가격은 보통 여러 변수의 영향이 합쳐지는 거라 상황마다 다른 것 같습니다. 미국 금리가 오르긴 했으나 우리나라 원화만 특별해서 달러에 대해 특별하게 움직이는 건 아니겠죠. 우리 원화뿐 아니라 유로화, 엔화 등 타국가들도 미국의 영향을 받고 달러화와 연동될텐데 금리차가 환율에 끼칠 영향 포션은 굉장히 작다고 봅니다.
자본유출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실 자본유출은 예전부터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금리 요인만 반영되는 건 아니고요, 지난 몇 년간 개인이 미국 주식시장과 채권 등에 투자한 자금만 봐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특히 개인의 경우 금리 10~20bp 차이에 투자 방향을 바꾸거나 하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습니다. 연준과 우리나라 한은 기준 금리차에도 불구하고 개인 자본이동의 추가적인 변화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데요. 대내외 금리차 자체로 그렇게 큰 터닝포인트가 생기지 않는다는 걸 보여주고 있습니다.
은행권 관계자 A
자본 유출은 대내외 금리차만으론 결정되지 않는다는 게 중론입니다. 그외에도 여러 요소가 있는데 경제 펀더멘탈, 외화보유고 등이 있겠죠. 실제 과거에도 우리나라 금리가 미국보다 낮은 적이 네 번 정도 있었는데 주식·채권 시장을 합쳐서 외국인의 국내 투자금이 줄어드는 등 자본 유출된 적은 전혀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는 단순히 금리 차이에 좌우되지 않는데요. 지난해 하반기부터 금리 역전차가 확대돼왔지만 최근 국내 증시에 오히려 외국인 자금이 들어오고 있기도 합니다. 하반기 수출 회복세에 대한 기대감 등의 영향이죠. 양국간 금리 차이가 1% 안팎이었던 지난해 4분기보다 1.25%포인트로 확대된 올해 1분기에 외국인 증권 투자자금이 오히려 두 배 가까이로 늘었습니다.
환율 영향도 보면 그렇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작년에 연준에서 금리를 급격히 올리면서 시장 안팎에서 '킹달러' 등 많은 우려를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율은 연말이 되면서 오히려 안정되지 않았습니까. 그동안 연준에서 인상 시그널을 보내와서 이미 환율에 영향이 미리 반영돼있고, 당장 우리나라 금융과 자본시장이 내외 금리차 때문에 크게 흔들릴 일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향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하게 되면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히긴 하겠습니다. 이미 금리를 올릴 생각이 있었다면 그 논거 중 하나로 들어갈 것이라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