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명 한국투자증권 크레딧 전문위원
정부가 자금시장 경색을 막기 위해 온갖 것들을 내놓는 것 같습니다. 다만 여전히 최상단물들이 원활히 풀리지 않는 모습입니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우선 이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75bp의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파월 의장이 최종 금리 수준이 예상보다 높을 수 있다고 발언한 데 있습니다. 한국은행도 이달 24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여는데, 그때 금리를 어느 정도 폭으로 올릴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생긴 듯 합니다. 그러다보니 시장에서도 선뜻 나서는 자가 없고 '일단은 지켜보자'라는 심리가 퍼진 것이죠.
정부가 시중은행들을 동원해 약 95조원 정도를 연내 공급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는데 은행들이 얼마나 성의껏 자금을 공급하는지도 지켜봐야 할 필요성이 있겠습니다.
채권 거래가 다시 원활히 이뤄지기 위해서는 가격이 안정돼 호가 간 차이가 크지 않아야 하는데 금통위라는 큰 이벤트가 있는 현 시점에서는 활기가 돌기 어려워 보입니다.
가격 안정이 이뤄지려면 발행물들의 옥석 가리기를 통해 불확실성이 어느정도 해소되는 것이 우선돼야 할 듯 합니다. PF ABCP의 경우 각 현장의 사업성 판단이 필요하겠고, 확약을 섰던 증권사들은 일정 부분 건전성이 훼손될 가능성도 있는데 이 경우 얼마나 완충력을 확보하느냐도 관건이 될 듯 합니다. 익스포저가 큰 캐피탈사 등 여전사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미 대형 증권사들은 실적이 나쁘다는 이야기가 들려오는데 부동산 관련 익스포저 탓에 충당금을 적립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러한 부분이 명쾌히 정리가 되고 불확실성이 제거가 되면 자금시장에 다시 돈이 돌 것입니다.
김상훈 신한투자증권 투자전략부 부서장
신용 시장이란 상호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유지되고 성장하는 곳입니다. 신뢰가 깨지는 순간은 큰 이벤트 때문이 아닌 작은 의심이 발생하는 때 입니다. 금리 상승으로 부동산 시장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는 시점에 시장에 큰 충격을 준 때가 바로 9월 28일이었습니다.
현재의 정부 정책은 시장 상황을 9월 28일 이전으로 돌려놓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레고랜드 사태가 결론적으로는 단기자금시장을 넘어 일반 CP 시장과 회사채 시장까지 악영향을 줬지만 정부 정책이 이 모든 것을 치유할 수 없고 정책의 의도가 모든 것의 정상화일 수도 없을 것입니다. 단기자금시장의 경색을 막겠다는 것이 정부 정책의 의도라면 현재의 정책은 굉장히 적절해 보입니다.
사실 정부는 단기조달시장을 굳이 건들고 싶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 여파가 일반 CP시장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고 증권사들의 자금 확보 이슈로 연결되면서 문제가 커질 기미가 보이자 정부가 나선 것이죠. 위험이 전이되는 고리를 끊어내고자 정부가 시의적절하게 다양한 방법을 마련한 듯 합니다.
정부 정책과 별개로 우선 연말이 되면 퇴직연금 등 기관들의 여유 자금이 생길 것이고 그때서야 시장에 돈이 조금 돌기 시작할 듯 합니다. 국민연금을 제외하면 다른 연기금들은 1월에 모두 집행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그때가 되면 우량 회사채들을 비롯해 공사채와 은행채 등 우량채들 위주로 자금이 돌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 온기가 싱글 A급 등 비교적 낮은 신용등급의 채권까지 퍼질 지는 미지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