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인풋과 아웃풋, 들인 돈에 비해 얼마나 큰 효용을 얻느냐는 투자자들의 기본 마인드셋이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기업가치를 평가할 때 가장 가시적인 방법은 자기자본 대비 얼마나 큰 '파이'를 만들어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수치화한 것이 바로 자기자본이익률(ROE)이다. 글로벌 화학 기업 듀폰(Dupont)은 ROE를 순이익률·총자산회전율·레버리지비율로 나눠 ROE의 증감 요인을 분석한다. THE CFO는 국내 기업들의 ROE를 듀폰 분석법에 기반해 해석해 봤다. 이를 통해 기업이 창출한 ROE의 배경과 숫자의 의미를 분석했다.
'코로나 특수'를 누렸던 HMM이 해운업 전망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올해도 대활약했다. 직전 4개 분기(2022년 4분기~2023년 3분기) 대비 최근 4개 분기(2023년 4분기~올해 3분기)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오히려 상승하며 주주 성과를 알뜰히 챙겼다. 활약 배경에는 홍해발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대한 반사이익이 컸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HMM의 최근 4개 분기 ROE는 13.6%다. 직전 4개 분기 ROE는 9.8%로 약 3.8%포인트 상승했다. HMM은 2021년과 2022년 각각 ROE가 88.62%, 64.98%라는 비상식적인 기록을 냈다. 당시 팬데믹으로 인한 물류비 상승의 특혜를 제대로 본 덕이다. 2021년과 2022년 영업이익률은 무려 50%를 넘었다. 2022년에는 순이익률도 54%를 기록했다.
그러던 중 작년에는 한 풀 꺾였다. HMM의 작년 ROE는 4.59%다. 다만 손익 관점에서의 성과는 여전히 건재했다. HMM은 작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로 각각 6.96%, 11.53%를 기록했다.
해운업계 일각에서는 올해 해운업에 대한 전망을 그리 밝지 않다고 봤다. 작년 한 풀 꺾인 실적과 더불어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여파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딱 그 시점에 '홍해 리스크'가 터졌다.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공격에 보복하기 위해 홍해를 지나는 상선을 잇달아 공격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머스크와 하파크로이트 등 주요 글로벌 해운사들이 홍해 노선 이용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국내에서 유럽 정기 노선을 운영하는 유일한 선사인 HMM도 유럽행 노선을 수에즈 운하에서 아프리카 희망봉으로 전환해 운영하겠다고 발표했다.
희망봉 우회는 결국 운임 상승으로 이어졌다. 지정학적 갈등이 코로나 특수때처럼 HMM에 반사이익을 가져다 준 셈이다.
ROE를 순이익률과 총자산회전율, 레버리지비율로 분해, 분석하는 '듀폰 분석법'에 기초해 봤을 때 HMM의 총자산회전율과 레버리지비율은 직전 4개 분기값과 최근 4개 분기값이 크게 다르지 않다. 최근 4개 분기 총자산회전율과 레버리지비율은 각각 0.38회, 121%다. 직전 4개 분기는 0.35회, 128%다.
반면 순이익률은 직전 4개 분기의 경우 22%, 최근 4개 분기는 8%포인트 높아진 30%를 기록했다. 순이익률에 영향을 주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와 건화물선운임지수(발틱운임지수, BDI)의 경우 직전 4개 분기 대비 최근 4개 분기 확연히 높아진 모습이다.
SCFI는 작년 내내 1000 안팎을 오갔지만 홍해 리스크가 터졌던 작년 말부터 2000을 돌파하더니 올해 중순에는 4000에 육박하기도 했다. 12월에도 2000~2500 선을 오가고 있다.
BDI의 경우 코로나 특수의 막바지였던 2022년 4분기 4000대 후반에서 2000대 후반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2023년에는 600~1000대 중후반으로 BDI가 하락했다. 그러다 희망봉 리스크가 수면 위로 떠올랐던 작년 말 이후로는 BDI가 1000대 후반까지 상승했다. 올 3월에는 2000을 돌파하기도 했다.
올해 견조한 실적을 바탕으로 HMM은 곳간에 현금을 추가로 쌓았다. 3분기 말 HMM의 연결 현금성자산은 14조3422억원으로 작년 말 11조7568억원 대비 약 22% 증가했다. 부채비율은 3분기 말 기준 22.5%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