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인수합병(M&A), 기업공개(IPO) 등 '빅딜(Big Deal)'은 기업의 운명을 가른다. 단 한 건의 재무적 이벤트라도 규모가 크다면 그 영향은 기업을 넘어 그룹 전체로 영향을 미친다. 그 영향은 긍정적일수도, 부정적일수도 있다. THE CFO는 기업과 그룹의 방향성을 바꾼 빅딜을 분석한다. 빅딜 이후 기업은 재무적으로 어떻게 변모했으며, 나아가 딜을 이끈 최고재무책임자(CFO) 및 재무 인력들의 행보를 살펴본다.
SKC는 SK넥실리스를 인수하면서 재무부담이 확대된다는 점은 각오하고 있었다. 1조원이 넘는 큰 딜이었고 주력 사업이었던 화학 사업의 절반과 필름 사업 전부를 매각하는 등 동박 추가 투자를 위한 재원 마련과 딜 이후 재무구조 개선 작업을 위해 포기할 것은 포기했다.
재무부담은 현재 진행형이다. SKC의 최고재무책임자(CFO)인 최두환 부사장(
사진)이 고민해야 하는 지점이다. 이외 최 부사장이 촉각을 세우고 있는 지점은 현금흐름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사업개편 시작 이후 지주사 기능을 하고 있는 SKC는 각 자회사들이 사업 활동을 하면서 현금이 부족할 때 외부 조달을 통해 수혈해줘야 하는 역할이 있다.
SK넥실리스 인수 이후 SKC 연결 현금흐름표에서 변화가 큰 항목은 자본적지출(CAPEX)이다. SK넥실리스의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CAPEX 지출이 늘어난 점이 현금흐름 악화의 주 요인이었다.
작년과 인수 전인 2019년을 비교해보면 CAPEX 지출에 큰 변화가 생겼다. 작년 SKC는 연결 기준 CAPEX로 7654억원을 썼다. 2019년에는 CAPEX 지출로 2802억원만을 썼다.
CAPEX 지출 증가는 곧 잉여현금흐름에 큰 구멍을 냈다. 특히 작년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이 나쁘지 않았음에도 잉여현금흐름에 큰 결손이 났다는 점에서 SKC의 현금흐름 상황이 녹록지 않았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작년 SKC의 연결 잉여현금흐름은 -1조255억원이었다.
EBITDA는 작년 4730억원으로 2019년 2984억원 대비 많았다. 다만 EBITDA/CAPEX 수치를 비교해보면 2019년 1.06배에서 2022년 0.62배로 줄어들었다. 2019년에는 EBITDA가 CAPEX보다 많았다면, 작년에는 EBITDA가 CAPEX보다 훨씬 적었다는 의미다.
작년 현금흐름 상황에 숨통을 트게 해줬던 이벤트는 필름사업부 매각이었다. 작년 말 한앤컴퍼니에 1조5950억원을 받고 사업부를 내줬다. 이 딜로 작년 별도 기준 SKC의 매각예정자산 처분 계정에 잡힌 현금유입액은 8769억원이다.
올해 이후에도 CAPEX 지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현금흐름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SKC는 올해 말레이시아 공장 상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고 유럽 지역의 폴란드 공장에는 9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고 있다. 또 2025년 가동 목표로 북미 지역 투자를 예고했다.
재무상태표 상 SK넥실리스의 인수 전과 후의 수치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작년 말 SKC의 연결 부채비율은 185%로 2019년 말 130% 대비 55%포인트 높아졌다. 순차입금비율은 2019년 말 93%에서 작년 말 82%로 소폭 하락했다.
총차입금은 2019년 말 1조6854억원에서 작년 말 3조3114억원으로 약 2배가량 늘어났다. 전체적인 부채 부담이 늘었으나 사업부 매각 등으로 충격을 일부 완화한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