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이 최근에서야 바이오사업을 시작한 건 아니다. 기존 식품사업 관련 분야와 가장 밀접한 바이오 분야에 투자를 먼저 시작했다. 바로 그린바이오다.
풀의 녹색 이미지와 연결되는 그린바이오는 식물성 원재료를 활용해 식품·사료 첨가소재를 만드는 사업이다. 해외법인 위주로 일찍이 투자하면서 현재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 중 가장 큰 캐시카우 역할을 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의 식품 사업과 바이오 사업의 매출 비중은 각각 61%, 39%다. 이 중 바이오 실적의 대부분은 현재 그린바이오가 차지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이 라이신, 트립토판, 핵산, 발린, 농축콩단백(SPC) 등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CJ제일제당이 처음부터 이랬던 건 아니다. 그린바이오 사업 투자는 35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1988년 최초의 해외법인인 인도네시아 법인을 설립하면서 1991년 글로벌시장에 처음으로 사료용 아미노산 라이신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설립초기 연간 생산규모는 1만 톤 수준에 불과했지만 30년이 지난 현재 25만 톤을 훌쩍 넘긴다.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된 제품의 대부분은 유럽, 아시아 등 해외로 수출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선 바이오 제품을 생산할 글로벌 법인을 본격적으로 늘렸다. 브라질 등 남미를 비롯해 미국,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 생산기반을 확보했다. 2017년엔 브라질 글로벌 농축대두단백 1위 업체 '셀렉타'를 인수했다.
그린바이오 투자의 결실을 보이듯 CJ제일제당 해외 바이오 매출 규모 1위는 남미(1조1000억원)가 됐다. 남미 매출 중 100%가 전부 바이오 실적이다. 현재까지 6개국 11개 공장에 생산기지를 구축했으며 37개국에서 판매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가장 가까운 중국 시장은 CJ제일제당으로선 타기업에 뺏길 수 없는 시장이었다. 이에 2004년 472억2600만원을 들여 중국 라이신 제조와 판매업을 담당하는 '랴오청 바이오테크'을 세웠고 2010년엔 237억원을 투입해 선양법인(선양 바이오테크)을 설립했다.
법인설립과 함께 그린바이오 기술개발 투자도 이어졌다. 2015년 세계 최초로 발효기반 L-메치오닌을 개발했고 2016년 기능성 아미노산 현지업체 '하이더'를 360억원에 인수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일찍이 투자한 중국 그린바이오 시장은 CJ제일제당에 기회가 됐다. 2021년 기준 글로벌 매출을 보면 미국이 3조9000억원으로 해외 시장 중 가장 큰 매출을 냈지만 바이오는 13%(5070억원)에 불과하다. 반면 중국 전체 매출 1조3000억원 중 바이오는 49%(6370억원)에 달한다. 국내 바이오 매출(6200억원)과 비교해도 큰 숫자다.
2017년엔 CJ 바이오 감미료 유럽법인(BIO SWEETENERS EUROPE SAS)을 6억7100만원에 세웠다. 유럽 시장은 상대적으로 뒤늦게 투자하기 시작했지만 중요한 시장이다. 유럽 전체 매출(7000억원) 중 93%(6510억원)가 바이오 사업에서 나왔다. CJ제일제당이 식품 사업으론 장악하지 못한 유럽 시장을 그린바이오로 선점할 수 있었다.
최근 ESG 부각으로 CJ제일제당은 향후 그린바이오 제품군 중 가축의 환경 오염물질 배출을 줄일 수 있는 발린·알지닌·이소류신등 스페셜티 아미노산 제품 시장을 적극 확대할 계획이다. 스페셜티 제품 매출 비중은 현재 12%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최근 부상하고 있는 레드바이오나 화이트바이오의 경우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까지 상당시간 걸리는 반면 그린바이오는 단기적인 실적을 내기 쉬운 편"이라며 "그린바이오가 바이오사업 중 캐시카우로 역할하고 있는 이유"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