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금감원 부원장보, 증권사 CFO 호출…무슨 얘기 나눴나

부동산PF 대비 만전 강조…NCR 규제 강화 '예고'

이정완 기자  2025-01-17 07:38:21
금융감독당국이 연초부터 증권사의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에 대한 꼼꼼한 관리를 주문하고 나섰다. 증권사 최고재무책임자(CFO)들을 불러모아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 것으로 전해진다. 올해 부동산PF 진행 단계에 따라 영업용순자본비율(NCR)에 반영되는 위험도도 차등을 두겠다고 설명한 만큼 증권사의 자본 확충 움직임도 바빠질 전망이다.

1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 서재완 금감원 부원장보와 국내 주요 증권사 CFO들은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만났다. 서 부원장보는 작년 9월 금융투자 부원장보로 승진했다. 1970년생으로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2000년 공채 1기로 입사했다. 공채 1기 중에서는 첫 임원 승진이었다. 법무실 국장, 제재심의국장, 자본시장감독국장 등을 역임했다.

서 부원장보는 이 자리에서 올해 NCR 규제 변화를 예고했다. 금융회사의 자본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NCR은 영업용순자본에서 총위험액을 뺀 값을 필요 유지 자기자본으로 나눠 계산한다. 총위험액은 시장위험액, 신용위험액, 운영위험액으로 구성되는데 증권사의 PF 채무보증이 신용위험액에 반영된다.

금융당국은 PF 대출 건전성 강화를 위해 2019년 말 증권사 PF 채무보증 위험액 산정 기준을 강화한 바 있다. 기존 PF 채무보증 규모의 12%만 반영하던 것을 18%로 높였다. 신용위험액이 늘어나면 NCR 산출 시 총위험액이 증가하고 이는 NCR 하락으로 이어진다. NCR 하락을 막으려면 영업용순자본을 늘려야 한다.

금융당국은 18%로 높인 PF 채무보증 반영 비율을 부동산PF 진행 단계별로 차등해 더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예를 들어 본PF로 전환되기 전인 브릿지론 단계에 있다면 18%보다 높여 신용위험액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올해 초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업무 계획에도 이 같은 내용이 포함돼있다. 자본적정성 강화를 위해 증권사 NCR 규제를 개선한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작년 한 해 동안 부동산PF 사업성 평가를 실시하며 부실 정리에 한창이었다. 증권사도 4단계로 세분화된 평가체계를 반영해 리스크를 평가한 뒤 충당금 적립에 나섰다. 서 부원장보의 새해 당부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 같은 규제 변화 속에서 증권사 CFO 선택지는 두 가지다. PF 익스포져를 줄이거나 자본을 확충하는 것이다. 작년까지 다수의 증권사가 PF 사업장을 정리하며 자기자본 대비 PF 우발채무를 끌어내렸다. 달라질 NCR 평가 기준대로라면 이제부터 본PF나 사업성 높은 사업장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중소형 증권사에겐 쉽지 않은 일이다. 대형 증권사는 본PF나 선순위 대출에 참여하는 게 용이하지만 중소형 증권사는 사업 초기 단계 브릿지론이나 중, 후순위 대출을 통해 이익을 창출했다. 우량 사업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적다 보니 고위험 고수익 전략이 불가피했다.

PF 채무보증에 대한 고민이 있는 증권사는 결국 자본 증가에 나설 수밖에 없다. 지난해에도 많은 증권사가 NCR을 끌어올리기 위해 자본성증권 발행을 택했다. 부동산 익스포저가 많은 메리츠증권은 지난해 영구채와 신종자본증권을 찍어 6000억원 넘는 자본을 확충했다. 이 밖에 미래에셋증권,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 등도 후순위채를 발행해 자본 규모를 키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