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이 현대차그룹으로부터 최대 2조원을 차입하기로 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조원은 SK온이 현대차그룹과 세우기로 한 북미 합작 법인에 투자할 금액과 거의 맞아떨어진다. SK온의 자금 상황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사실상 북미 배터리 공장 설립을 현대차그룹의 자금으로 설립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SK온은 이달 24일 이사회를 열고 현대차로부터 최대 1조2000억원, 기아로부터 8000억원을 차입할 수 있는 차입 계약을 맺었다. 모회사 SK이노베이션(AA)이 채무 보증을 선다. 채무보증기간은 2023년 7월 14일부터 2028년 9월 29일로 약 5년이다.
작년 11월 현대차그룹과 SK온은 북미 배터리 공급 협력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지난 달 북미 지역 배터리 합작 법인을 세우기로 확정했다. SK온과 현대차, 현대모비스, 기아가 참여한다. 2025년 하반기 가동 목표로 미국 조지아주 바토우 카운티에 연간 35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 셀 생산 공장을 짓는다.
투자 규모는 약 6조5000억원이다. SK온과 현대차그룹이 50:50으로 출자한다. 양 사가 출자할 금액은 전체 투자 규모의 50%고 나머지는 합작법인의 차입을 통해 공장 설립 재원을 마련한다.
50:50 투자라고 밝혔지만 공시에 따르면 양 사의 출자 예정 금액이 다르다. 현대차그룹은 1조6200억원을, SK온은 1조9500억원을 출자한다고 밝혔다.
SK온의 출자 금액이 현대차그룹보다 많은 이유는 사규에 따라 예비비를 포함했기 때문이다. 본래 합의된 출자 금액은 1조6200억원이나 SK온은 공사 진행 과정에서 추가로 소요될 수 있는 자금을 대비해 본래 투자 금액의 1.2배로 최종 투자 금액을 정했다. 결과적으로 산출된 1조9500억원이라는 투자 금액은 현대차그룹으로부터 빌리기로 한 2조원이라는 금액과 거의 맞아떨어진다.
물론 이는 차입 계약으로 현재 시점에서 SK온이 현대차그룹으로부터 2조원을 일시에 대출받았다는 의미는 아니다. 또 '최대' 2조원이기에 실제 차입 금액은 다를 수 있다. 다만 SK온의 자금 상황 등을 고려하면 현대차그룹으로부터 빌린 돈이 결국 합작 공장 설립에 쓰일 것이라는 분석이 짙다. 합작법인의 외부 조달을 제외하면, SK온-현대차그룹의 북미 합작공장은 사실상 현대차그룹의 돈으로 지어질 것이라는 의미다.
실제 양 사의 자금 상황은 극명히 다르다. 현대차·기아와 SK온의 자금 상황은 180도 다르다. 현대차의 올해 1분기 말 별도 기준 현금성자산은 10조4230억원이다. 차입금은 6조4630억원으로 약 4조원의 순현금을 보유 중이다. 기아 역시 올해 1분기 말 별도 기준 10조1081억원의 현금성자산을 보유 중이다. 기아도 모든 차입금을 갚고도 3조3618억원의 현금이 남아있는 탄탄한 재무상태를 자랑한다.
물론 LG에너지솔루션과의 배터리 셀 합작 공장 등에 조원대 금액이 들어가는 등 현대차·기아의 자금 소요도 상당하지만, 북미 지역 완성차 시장 선점을 위해 SK온에 2조원을 기꺼이 빌려줄 수 있는 상황으로 분석된다. 현대차·기아 입장에서도 전기차에 꼭 필요한 배터리 공급을 원활하게 받기 위해 SK온과의 전략적 합작이 중요한 상황이다.
아직 영업에서 적자를 내고 있는 SK온은 '조달'이 핵심 이슈인 상황에서 현대차그룹으로부터의 2조원 조달이 '단비'처럼 느껴질 수 있다. SK온은 배터리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추가 투자를 지속해야 한다. 이에 현대차그룹으로부터 2조원 차입 외 최근 재무적 투자자(FI)들로부터 약 1조20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하기로 했다.
물론 SK온은 2조원이라는 큰 금액을 차입한 만큼 매년 현대차·기아에 일정 수준의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 시장금리와 SK이노베이션의 크레딧(AA)을 고려했을 때 2조원을 전량 차입했을 경우 약 1000억원대의 이자를 지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만기 도래시 2조원이라는 큰 돈을 상환해야 하는 의무가 있기에 이 역시 추후 기업공개(IPO)를 성공적으로 이끌어야 할 부담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