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기존 ㈜코오롱의 증손회사인 코오롱데크컴퍼지트가 코오롱글로텍 및 코오롱ENP로 흩어진 복합소재 관련 사업을 양수하며 지난달 출범했다. 항공 및 방위산업에 필요한 첨단 복합소재를 생산하기 위해 계열사들의 역량을 모두 모았다.
조직재편 과정에서 ㈜코오롱이 지분 100%를 직접 보유하며 자회사로 지위가 격상됐다. 증손회사에서 벗어난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운신의 폭이 넓어졌다. 지주회사 및 소속회사의 행위제한 규정에 따라 금지됐던 계열사 주식 소유가 가능해졌고, 모회사가 지분 100%를 소유해야 한다는 규제에서도 자유로워졌다. 또 ㈜코오롱으로부터 직접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코오롱으로부터 직접 자금 수혈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자산총계 655억원(지난해 말 기준) 규모의 계열사다. 연간 상각전영업이익(EBITDA) 규모는 수십억원대다. 지난해 52억원의 EBITDA가 발생했다. 코오롱그룹의 지주사 ㈜코오롱의 지난해 연결 자산총계는 6조5000억원, EBITDA는 1865억원으로 나타났다.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코오롱그룹에서도 규모가 작은 계열사다.
존재감이 크지 않던 코오롱스페이스웍스의 위치가 ㈜코오롱의 자회사로 격상된 점은 그룹 차원의 지원을 예상할 수 있게 한 대목이다. 실제 자회사 편입 즉시 ㈜코오롱으로부터의 직접적 자금 지원이 일어났다. ㈜코오롱은 지난 7월 코오롱스페이스웍스에 400억원을 빌려줬는데, 정확히 한달 후인 지난 14월 7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추가 지원에 나섰다.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코오롱으로부터 일으킨 400억원을 조기 상환할 예정이다.
결과적으로 이번 유상증자로 코오롱스페이스웍스가 300억원의 자본확충 효과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말 기준 코오롱스페이스웍스의 자본총계는 280억원에 불과했다. 300억원의 자본확충이 일어난다면 각종 재무지표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테면 지난해 코오롱스페이스웍스의 부채비율은 133.8%였다. 비상장사인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매년 연말에만 감사보고서를 공개한다. 지난해 말 재무제표에서 큰 변동이 없다고 가정하고 계산하면, ㈜코오롱으로부터 400억원의 차입금을 일으켰을때 부채비율이 280% 수준까지 올랐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700억원을 확보해 이중 400억원의 차입금을 상환한 뒤 자본총계는 300억원이 추가로 늘어난다. 부채비율은 64.6%까지 떨어질 수 있다.
차입금의존도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말 코오롱스페이스웍스의 총차입금은 184억원, 차입금의존도는 28.1%로 나타났다. 이후 차입금이 늘어나며 단기적으로 차입금의존도가 55%로 치솟았다가 유상증자와 차입금 상환으로 차입금의존도가 19% 수준으로 가라앉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시 채워진 곳간, 투자로 체급 올린다 코오롱스페이스웍스의 현금성자산은 2019년 이후 꾸준히 줄어들었다. 차입금 상환에 코오롱스페이스웍스가 보유 중이던 현금을 상당수 소진한 것으로 파악된다. 2019년 311억원 규모의 총차입금은 지난해 연말까지 184억원으로 축소됐다. 같은 기간 193억원 규모였던 코오롱스페이스웍스의 현금성자산은 지난해 말 12억원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코오롱글로텍 및 코오롱ENP로부터 관련 사업을 양수하기 위해 400억원여가 필요했다. 현금 보유량 자체가 고갈된 상태였던데다가 수십억원 수준의 코오롱스페이스웍스의 현금 창출력으로 필요한 자금을 모으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현금 창출력이 확보되지 않은 만큼 무리한 차입을 일으키기에도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코오롱스페이스웍스가 ㈜코오롱으로부터 손을 벌릴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결과적으로 ㈜코오롱의 지원으로 코오롱스페이스웍스에는 차입금을 상환하고도 300억원의 여유 자금이 생기게 됐다.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이를 바탕으로 우주항공 복합 소재 공장 설립에 나선다. 2027년까지 함안에 650억원여를 투자해 공장을 완공하겠다는 목표다.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코오롱그룹의 미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역량을 한데 모아 탄생한 계열사다. 재계 관계자는 "항공우주 분야 사업 확장을 위한 코오롱그룹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아직 규모가 작고 현금 창출력이 충분하지 않은 만큼 사업 확장 과정에서 지주사의 추가적인 지원 가능성 역시 열려있다고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