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Rating Watch

'강등 위기' GS건설, 적자보다 우려되는 평판 리스크

재시공 비용으로 5524억 일시 반영, 8월 국토부 전수조사가 분기점

김슬기 기자  2023-07-28 14:33:16
올해 상반기 GS건설이 검단 아파트 재시공 여파로 대규모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일시에 5524억원의 비용을 인식한 탓이었다. 이는 연간 영업이익과 비슷한 수준이다. 또 다음달 중순엔 국토교통부의 전수 조사 결과가 나오는만큼 재무 및 평판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있다.

GS건설의 상반기 대규모 손실과 국토부 처분 결과는 신용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GS건설은 2021년말 신용등급 'A+'로 상향조정된 지 2년도 채 되지 않았지만 다시 강등 위기에 놓인 것이다. 신용평가사들의 경우 건설업 내에서의 품질 및 안전관리 수준도 평가요소로 보는만큼 하향 조정이 가시화되고 있다.

◇ 2분기 4100억대 손실, 9년만에 첫 분기 적자

최근 GS건설은 2023년 2분기 연결 매출 3조4951억원, 영업손실 4139억원의 손실을 냈다고 공시했다. GS건설이 분기 기준 적자를 낸 것은 2014년 1분기 이후 9년만에 있는 일이었다. 상반기 누적 기준으로는 연결 매출 7조77억원, 영업손실 2550억원이었다.

영업손실은 인천 검단 아파트 재시공 영향이 컸다. 지난 4월 해당 현장의 지하주차장 붕괴사고가 발생했고, 이달 5일 건설사고조사위원회의 사고조사 결과와 사고현장 특별점검 결과가 나왔다. GS건설 측은 설계·감리·시공 등 전 부문에 걸친 부실로 인해 전면 재시공을 결정했고 이와 관련된 비용을 일시에 반영했다.


일시 반영된 비용은 총 5524억원으로 매출 차감분 735억원, 손실충당금 4787억원이었다. GS건설의 연간 영업이익 수준은 2021년 6465억원, 2022년 5548억이었다. 이를 고려하면 1년 영업이익만큼 비용처리를 한 것인만큼 올해 연간 영업손실을 내거나 간신히 손익분기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전지훈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과거 HDC현대산업개발의 사례를 봤을 때 사고 현장의 재시공 관련 비용은 5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지출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고려한 직접적인 자금소요는 연 평균 1000억원 내외로 자체적인 대응이 가능할 전망"이라며 "향후 조사를 토대로 한 협상 과정에 따라 발주처인 LH 등과 비용을 배분할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 연간 1000억 비용은 감내, 문제는 '평판 악화'

GS건설의 경우 연간 1000억원 정도의 비용 집행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문제는 브랜드 인지도와 다음달 있을 국토부의 점검 결과 및 후속조치다. 국토부는 현재 GS건설이 시공하는 83개의 현장에 대한 전수 조사를 진행 중이고 점검 내용과 회사에 대한 처분사항을 8월달 중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신용평가사 3사는 GS건설의 신용등급 및 전망을 'A+, 안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신평사 3사는 2021년 12월 주택사업의 우수한 사업경쟁력과 이익창출력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 사업구조 재편으로 플랜트 부문의 수익성이 안정화될 것으로 판단된다는 점, 재무구조 개선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점 등을 들어 등급을 A0에서 상향조정했다.


하지만 2년도 채 되지 않아 상황이 바뀌었다. 우선 한국신용평가 측은 "재시공 사태의 영업 및 재무적 파급력과 동시에 대응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 신용등급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8월 중순 발표 예정인 국토부의 전수 조사 결과와 처분수준 등도 신용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여타 신평사들 역시 관련 내용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 한국기업평가의 '건설업 신용평가방법론'을 보면 △매출액 △조정시공능력평가 순위 △사업포트폴리오 △공사물량확보능력 등의 사업항목을 고려한다. 이번 사안은 공사물량확보능력에 관한 건으로 재해 발생에 따른 평판리스크 확대 및 수주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필 예정이다.

결과적으로 8월 검사결과에 따라 신용등급이 하락할 여지가 있는 것이다. 올 상반기말 기준으로 GS건설이 신용보강을 제공하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화증권은 일반 도급 관련 보증이 1조6000억원, 정비사업 1조3000억원이며 회사채 7000억원 등도 있다. 등급 하향이 현실화될 경우 차입금 차환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