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하나금융 밸류업 점검

총주주환원율 '40%' 달성에 달린 주가 향방

⑧자사주 정책으로 레벨업,…KB와 주가 격차 해소 관건, 하반기 추가 매입·소각

최필우 기자  2024-07-23 11:10:39

편집자주

K-밸류업 정책이 본격화 하면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윤곽을 드러냈다. 기업들은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하는 등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지배구조, 이익창출력, 주주가치 등 여러 방면에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정책에 호응하는 한편 미래지속가능성장을 위한 투자유치 기회로 삼았다. 하나금융이 준비하는 밸류업 전략을 살펴보고 시장의 가치평가 기준이 되는 여러 재무·비재무 요소를 짚어본다.
하나금융은 리딩금융 경쟁을 벌이는 KB금융과 신한지주의 총주주환원율(배당 성향+자사주 매입·소각)을 추격하고 있다. 자사주 정책 도입이 상대적으로 늦었으나 전년 대비 매입·소각 규모를 키우며 격차를 좁히고 있다. 올해 총주주환원율 40% 달성 여부가 향후 주가 향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총주주환원율 개선은 밸류업 대장주로 치고 나간 KB금융과의 주가 상승률 차이를 좁히는 열쇠가 될 수 있다. 하나금융은 올들어 주가를 47% 끌어 올리며 선전하고 있으나 KB금융(60%)과는 아직 차이가 있다. 하반기 자사주 추가 매입·소각으로 비슷한 수준의 총주주환원율을 달성하는 게 격차 해소 관건이다.

◇자사주 정책 '슬로우 스타터', 올들어 맹추격

하나금융에 따르면 지난해 배당 성향과 자사주소각율을 합산해 집계하는 총주주환원율 33%를 기록했다. 2022년 27%를 기록해 전년 대비 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으나 지난해에는 6%포인트를 끌어 올렸다. 기존 배당 중심 주주환원에 자사주 정책을 추가하면서 환원율 증가폭을 키웠다.

*하나금융지주 주주환원율 추이

하나금융은 KB금융이나 신한지주에 비해 자사주 소각이 늦었다. 국내 은행지주 최초로 자사주 소각을 단행한 건 KB금융이다. 이사회 결의일 기준으로 2019년 12월 1000억원 규모 소각을 의결했고 이듬해 3월 신한지주가 1503억원 소각 의결로 맞불을 놓았다. 하나금융은 2년여 뒤인 2022년 4월 1500억원 소각으로 스타트를 끊었다.

지난해 하나금융은 1500억원 추가 소각으로 자사주 정책을 안착시켰으나 규모 측면에서 KB금융, 신한지주와 차이가 벌어졌다. 작년 한해 동안 KB금융은 5717억원 소각을 의결했고 신한지주는 4859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하나금융의 연간 소각 규모가 KB금융의 4분의 1, 신한금융의 3분의 1 수준에 그친 셈이다.

올해는 판도가 달라졌다. 하나금융은 1월 30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소각을 의결했다. 예년에 비해 규모를 2배 키운 것이다. 상반기 3200억원을 소각하기로 한 KB금융, 두 차례에 걸쳐 총 4500억원 소각을 의결한 신한지주에 따라 붙었다.

연초에 연간 자사주 소각 규모를 키운 건 하나금융 주가 상승률이 올해 선전하는 바탕이 됐다. 하나금융을 올들어 지난 22일까지 주가 상승률 46.54%를 기록했다. 오버행 이슈로 주주환원 강화 효과가 제한되고 있는 신한지주의 주가 상승률 36.99%보다 높다. 같은 기간 59.89% 오른 KB금융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최초의 '연 2회' 소각 결정, 신중 모드

올 상반기 하나금융과 KB금융의 주가 상승률이 벌어진 요인으로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에 대한 기대감이 꼽힌다.

KB금융은 2022년과 2023년 두 차례(2월, 7월)에 걸쳐 자사주 소각을 의결했다. 이달에 올 상반기 경영실적을 발표하면서 추가적인 자사주 소각 계획이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 2월 의결한 수준의 자사주 소각이 연내 한차례 더 이뤄질 경우 총주주환원율 40%를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해 하나금융 순이익 3조4516억원을 기준으로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추가 매입은 총주주환원율을 4.3%포인트 높이는 효과가 있다. 3000억원 추가 매입시 8.7%포인트 상승한다. 올해 자사주 추가 매입과 연간 순이익에 따라 하나금융도 총주주환원율 40%를 넘길 수 있다.

다만 하나금융은 연 2회 자사주 소각을 의결한 전례가 아직 없다. 배당이나 자사주 소각의 경우 한번 규모를 확대하면 이듬해 다시 줄이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신중을 기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