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 건설사인 한신공영, 일성건설의 신용등급과 전망 하향 조정이 이뤄졌다.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건설사 신용등급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는 분위기다. 신용평가사들이 건설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추가적인 등급 조정이 예상된다.
대형 건설사도 안심할 수 없다. 일부가 등급전망에 이미 '부정적'을 달고 있는 만큼 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나온다. 올들어 건설채 수요예측에서 미매각이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조달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이제 시작일뿐, 추가적인 등급조정 가능성 한국기업평가는 14일 한신공영과 일성건설에 대한 정기평정 결과를 발표했다. 한신공영은 'BBB+, 부정적'에서 'BBB0, 안정적'으로 신용등급이 한 노치(notch) 강등됐다. 2020년 'BBB0'에서 'BBB+'로 상향 조정된 지 3년만에 다시 강등됐다. 기업어음(CP) 등급의 경우 'A3+'에서 'A3'로 하향 조정됐다.
이에 앞서 한국신용평가가 2019년 한신공영의 신용등급으로 'BBB0'를 제시하며 스플릿이 났지만 이번 조정으로 'BBB0'로 통일됐다. 다만 한국신용평가의 경우 지난해 12월 수시평가에서 등급전망으로 '부정적'을 제시하며 추가적인 강등 가능성도 있다.
일성건설의 경우 'BB+, 안정적'에서 신용등급을 유지한 채 등급전망에 '부정적'을 달았다. 2015년 해당 등급을 부여받았지만 8년만에 강등 위기를 맞게 됐다. 다만 CP 등급은 'A3-'를 유지했다.
한신공영은 2022년말 기준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25위로 업계에서 높은 신인도를 자랑한다. 일성건설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업력 45년의 건설사다. 그럼에도 이들에 대한 하향 조정은 수익성 하락과 재무부담 확대로 비롯됐다.
한신공영은 건설경기 활황으로 최근 몇 년간 호실적을 유지해왔지만 지난해 영업이익이 394억원에 그쳤다. 2018년 대비 81.63% 감소했다. 지난 1분기말 기준 부채비율은 247.5%로 2020년(179.4%)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왔다. 일성건설은 부채비율 265.4%를 나타내고 있다.
건설경기는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에 따른 단기자금 시장 경색, 원자재값 상승으로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올들어 주택경기의 급격한 둔화로 미분양 물량까지 증가하며 건설사의 운전자본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차입금 증가와 부채비율 상승으로 업계 전반의 재무건전성이 저하되며 신용평가사들도 현금흐름을 중심으로 건설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왔다.
업계에서는 정기평정이 진행중인데다 업황 회복이 쉽지 않은 만큼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크레딧 업계 관계자는 "건설경기가 회복이 쉽지 않은 가운데 중소형사를 중심으로 추가적인 하향 조정 가능성이 크다"며 "일부 대형건설사도 등급전망에 '부정적'을 달고 있어 신용도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신용등급 이슈, 자금조달에도 악영향 건설사들의 신용등급이 불안해지면서 앞으로의 자금 조달도 난항이 예상된다. 운전자본부담으로 조달을 늘려야 하지만 투자 수요 감소로 조달 난이도는 더욱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올해 대형사를 제외한 중소형사와 신탁사를 중심으로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미매각이 속출하고 있다. 한신공영은 지난 2월 500억원 모집에 50억원의 투자수요를 확보하는 데 그쳤다. 한국토지신탁은 올들어 두 차례에 걸친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모두 미달을 기록했다. 그나마 높은 금리 메리트로 추가청약을 통해 완판에 성공했다.
신세계건설, KCC건설 등 신인도 높은 건설사도 미매각을 면하지 못했다. 가장 최근에는 ㈜한양이 ESG채권 형태로 600억원 조달에 도전했지만 380억원의 미매각을 기록했다. KDB산업은행의 400억원 우선인수권으로 물량 부담은 없었지만 수요 모집에 한계를 보였다.
IB 업계 관계자는 "중소형사라 하더라도 과거 탄탄한 건전성을 보였지만 건설업 자체가 업황의 영향을 많이 타는 만큼 수익성의 변동성이 크다"며 "가뜩이나 건설업에 대한 투자를 기피하는 가운데 신용등급 이슈가 업계 전반으로 퍼질 경우 자금 조달은 더욱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