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수협은행장 인선

연임이냐 교체냐…본격 레이스 개막

①행장추천위원회 구성·활동 개시…관전 포인트는 강신숙 행장 연임

이재용 기자  2024-08-09 07:04:39

편집자주

Sh수협은행이 차기 행장 선출 작업에 돌입한다. 은행장 최종 후보 추천 권한을 쥔 은행장추천위원회 구성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인선 레이스가 펼쳐질 전망이다. 최대 관심사는 강신숙 수협은행장의 연임 여부다. 신경분리 이후 수협은행장이 연임한 사례는 한 번도 없다. 수협은행장 선임 절차와 특성, 강 행장의 지난 성과 및 변수 등을 통해 인선 향방을 점검해 본다.
차기 Sh수협은행장 선출 레이스가 임박했다. 수협은행은 오는 이사회를 통해 은행장추천위원회(행추위) 구성과 은행장 공개모집 일정 등을 확정 짓기로 했다. 금융당국의 '지배구조에 관한 모범 관행'에 따라 늦어도 8월 중순부터는 본격적인 인선 절차가 시작될 전망이다.

인선 관전 포인트는 강신숙 수협은행장의 연임이다. 신경(신용·경제사업)분리 이후 연임에 성공한 수협은행장은 아직 없다. 독립사업부제 시절로 범위를 넓혀도 단 한 차례뿐이다. 그간 공적자금 굴레에 빠져 관료와 민간이 번갈아가며 수장을 맡는 관행이 있었기 때문이다.

◇행추위 9일 이사회서 구성…8월 16일 전 1차 회의 소집

수협은행은 오는 9일 이사회를 열고 차기 은행장 인선을 위한 행추위 명단과 모집 일정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후 늦어도 8월 16일까지는 무조건 행추위 1차 회의가 소집된다. 지난해 말 금융당국이 지배구조 모범 관행을 도입하면서 행장 임기 만료 최소 3개월 전에는 경영승계 절차를 시작해야 한다.

수협은행장 선임 절차를 살펴보면 행추위 구성, 은행장 후보 공모, 행추위 면접, 최종 후보자 추천, 주주총회 선임 순으로 진행된다. 은행장 최종 후보에 추천되기 위해서는 행추위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현재 강 행장이 연임에 도전해도 외부 인사들과 동일한 선임 절차를 따라야 한다.


행추위는 모두 5명으로 이뤄진다. 5명 중 3명은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 3곳에서 추천한 현직 수협은행 사외이사들이 포진된다. 다른 2명은 수협중앙회가 선정한다. 통상 전국 수협조합장들이 수협중앙회 추천 행추위원이 돼왔으나 선정 대상에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다.

행추위에 정부 부처 추천 인사들이 포함되는 이유는 외환위기 여파로 지난 2001년 예금보험공사로부터 총 1조1581억원의 공적자금을 수혈받았기 때문이다. 당시 보통주 출자 형태로 자금을 지원받은 시중은행과 달리 주식회사가 아닌 수협은 상환을 전제로 한 출자금 형태로 자금을 받았다.

이번에 선출되는 수협은행장의 임기는 2년이다. 본래 은행장 임기는 3년이었으나 지난 2020년 책임경영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개정하고 은행장 임기를 2년으로 단축했다. 열린 규정이었던 연임도 명문화됐으며 2년 단위로 연임할 수 있도록 했다.

◇행장 연임 사례 없어…강신숙 행장 연임 여부에 주목

금융권 최대 관심사는 강신숙 행장(사진)의 연임 여부다. 이번에도 '최초' 타이틀을 따낼지가 주목된다. 강 행장은 수협에 몸담은 커리어 동안 최연소 여성부장(2005년)을 비롯해 최초 여성 부행장(2013년), 최초 여성 상임이사(2016년) 등 수협중앙회 내 최초 타이틀을 석권해 온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역대 수협은행장을 통틀어서 연임한 인물은 장병구 전 수협은행장 한명뿐이다. 다만 장 전 행장의 경우는 수협은행이 수협중앙회로부터 분리되기 이전인 2007년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다르다. 2016년 신경분리 이후 역대 은행장 중 연임한 사례는 아직 한 명도 없다.

과거 지원받은 공적자금이 수협은행장 단임의 가장 큰 이유로 지목된다. 공적자금을 지원받은 이후부터 관료와 외부 민간 인사가 번갈아 가며 수협은행장 자리에 앉는 관행이 형성됐다. 수협 내부 인물이 수협은행장에 최초로 오른 2020년까지 관행은 이어져 왔다.

관행이 끊겼을 뿐 아니라 이전과는 상황이 달라져 연임 가능성도 제기된다. 행추위 구성 단계부터 공적자금 상환 문제가 없는 수협은행장 인선은 이번이 처음이다. 여전히 이사회 구성 등 여러 부문에 정부 입김이 남아 있지만 잔여 공적자금 7574억원을 조기 상환한 만큼 그 부담이 줄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