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IBK기업은행 밸류업 점검

제한적인 주주 환원정책…국책은행의 딜레마

②정부 입김에 자본활용 결정…정책금융 수행 위한 버퍼 확보도 걸림돌

이재용 기자  2024-07-18 07:43:47

편집자주

K-밸류업 정책이 본격화 하면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윤곽을 드러냈다. 기업들은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하는 등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지배구조, 이익창출력, 주주가치 등 여러 방면에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정책에 호응하는 한편 미래지속가능성장을 위한 투자유치 기회로 삼았다. IBK기업은행이 준비하는 밸류업 전략을 살펴보고 시장의 가치평가 기준이 되는 여러 재무·비재무 요소를 짚어본다.
IBK기업은행은 배당 이외 이렇다 할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유일한 주주환원책인 배당마저도 시장 기대 수준을 밑돈다. 시장은 배당 확대에 대한 더욱 명확한 시그널을 기다리고 있지만 '주주가치 최대 고려'라는 모호한 구호만 있다. 주가가 오름세이긴 해도 여전히 자산과 실적 수준 대비 저평가되는 이유 중 하나다.

주주환원정책이 제한적인 이유는 국책은행이라는 특수성 때문이다. 시중은행 대비 주주환원 자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자사주 매입과 소각, 배당 등은 반드시 정부와의 협의를 거쳐야 해서다. 정책금융 수행에 따른 위험가중자산(RWA) 증가로 배당 기준인 보통주자본(CET1)비율을 넉넉히 쌓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자본 활용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수립·공개에 소극적인 모습

기업은행은 밸류업 예고 공시를 하지 않았다. 밸류업 예고 공시는 '정부 밸류업 프로그램'에 발맞춰 상장사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 시점을 명확히하는 일종의 선언이다. KB·우리금융 등 시중은행이 속속 예고 공시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가장 적극적이어야 할 국책은행은 되레 조심스러운 모습이다.

아직 기업은행은 중장기적인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이를 대외적으로 공개할 단계가 아니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기업은행 관계자 역시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에 대해 "현재 확정된 중장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이 없다"고 설명했다.

예고공시가 반드시 선행돼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밸류업 프로그램의 본질은 기업가치 제고다. 프로그램 시행 이전 시장에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명확한 시그널을 줬다면 급하게 수정할 이유가 없다. 하나금융의 예고공시 미실행도 앞서 명확히 한 중장기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기업은행은 현재까지 공개된 자본관리 계획 연동 중장기 주주환원 방안이 없다. "적정 자본비율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주주가치를 최대한 고려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적정 자본비율도, 이를 최대한 고려한 주주가치 제고 계획도 불분명하다. 주주환원을 확대하겠다는 방향성만 보이는 수준이다.

불분명한 기업은행의 행보는 시장의 기대치를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 시장과 주주들은 기업은행의 더욱 명확한 시그널을 바라고 있다. 배당성향이 별도 기준 32%를 넘기는 등 비교적 배당에 적극적인 모습이나 기대 수준(1000원)을 밑도는 주당배당금(DPS) 상향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국책은행의 특수성이 배경…밸류업 의지와는 무관

다만 기업은행은 국책은행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해야 한다. 주주환원 정책 등에 대한 소극적 행보는 기업가치 제고 의지와는 무관하다. 국책은행으로서 이사회 결정만으로 관련 정책이 마련되는 시중은행과 달리 기업은행은 독자적인 결정을 내릴 수 없다.

그간 자사주 매입·소각 등의 옵션이 사실상 배제된 것도 이 때문이다. 배당 역시 기획재정부 배당협의체에 의해 결정돼 자율성이 없다. 기재부에서 결정된 배당금액 등이 기업은행으로 통보되면 이사회와 주주총회의 승인을 거쳐 배당금 지급이 확정되는 방식이다.

이런 한계뿐 아니라 정책금융 수행해야 한다는 점도 주주환원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이다. 중소기업의 금융 안전판 역할을 하는 만큼 자본 활용에 제약이 따른다. 향후 정책자금 공급 등으로 RWA가 늘어날 것을 대비해 CET1비율 관리가 필요하다.

기업은행의 CET1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지난 1분기 말 기준 CET1비율은 11.39%이다. 규제비율은 넘어서지만 중기대출 성장 등을 고려할 때 충분한 수준은 아니다. 실제로 정책금융 역할이 점차 확대되면서 1분기 RWA는 1년 만에 18조3384억원 증가한 238조원에 이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