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의 배터리 사업을 담당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가 버는 것보다 더 많이 투자해 캐파(CAPA·생산능력)를 확충하고 있다. 올해 1~3분기 캐펙스(CAPEX·설비투자액)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신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성장했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이 강조해 온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 기조를 지키기 위해선 성장세를 보여주는 것만큼이나 확장 전략을 시의적절하게 펴는 것 역시 중요하다. 올해 벌어들인 것보다 지출이 많아 유동성은 전년보단 나빠졌으나 캐펙스 상당부분이 합작공장을 짓는 데 들어갔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 투자분이 추후 외형성장과 이익증가로 돌아올 수 있다는 얘기다.
◇캐펙스 전년 동기 대비 2배↑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에너지솔루션 사업부가 벌어들인 이익은 약 1조1163억원이었다. 매출은 약 1조5408억원, 영업이익률은 7.2%다. 올해 1~3분기 에너지솔루션 사업부의 캐펙스 집행액은 2조3967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1~3분기 에너지솔션 사업부는 1조6521억원을 투자했다. 해당 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2225억원, 8947억원이었다. 영업이익률은 7.3%다. 올해 3분기(누적) 전년 동기 대비 매출도 늘었으나 캐펙스 투입액도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캐펙스는 주로 미국 현지 생산거점 구축에 투입됐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는 미국에 스텔란티스와 함께 인디애나주 코코모시 1공장을 33기가와트시(GWh)규모로 건설 중이다. 이 공장은 2025년 1분기부터 가동할 예정이다. GM과도 미국에 각형과 원통형 배터리를 생산하는 30GWh 규모 합작공장을 짓고 있다. 고객사와 합작공장을 세운단 것 자체가 이미 공급 물량을 확보했단 것을 의미한다.
또 기존 원통형 생산기지인 말레이시아 세렘반공장에 1조7000억원 규모를 투자해 2공장도 건설하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국내 천안 공장에 지름 46㎜짜리 원통형 배터리 생산라인 구축 작업에 들어갔다. 46㎜ 배터리는 기존 2170 원통형 배터리보다 에너지 용량이 5배, 출력이 6배 개선된 차세대 배터리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커지자 다양한 고객사들의 수요에 맞추기 위해 전방위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투자 늘고 현금 줄었는데 곳간 상황은
전자재료 사업부까지 포함해 전체적으로 보면 3분기까지 총 2조4397억원을 투자했다. 전체 영업이익은 약 1조3216억원이었다. 영업이익보다 투자규모가 많은데 곳간 상황은 어떨까.
실제 현금 유출입을 나타내는 현금흐름표를 보면, 3분기까지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약 1조6778억원 순유입됐다. 하지만 투자활동현금흐름으로 약 3조684억원이 순유출됐다. 재무활동현금흐름으로는 1326억원 정도만 순유입됐다. 이는 갖고 있던 현금으로 투자하고 차입금은 별로 늘리지 않았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기존 3조원대에서 약 1조4074억원으로 줄었으나 여전히 1조원대 현금을 보유 중이다. 총차입금은 약 5조4443억원 수준이나 이 중 42% 정도인 약 2조4852억원이 장기차입금이라 상환 부담이 크지 않다.
투자가 늘고, 현금은 줄다보니 유동성은 전년보단 다소 악화됐다. 삼성SDI는 무리하게 투자하지 않고 수익성 위주의 질적 성장 전략을 강조해온 만큼 앞으로 수익성 개선을 이뤄나가는 데 경영 전략의 방점을 찍으며 투자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삼성SDI는 환율 영향으로 2000억원가까이 손해를 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말에서 올해 3분기까지 차입금은 2961억원가량 늘었다. 하지만 현금흐름표상 차입금 차입과 상환금액의 차이는 885억원이다. 약 2000억원 가량의 갭이 발생하는데 이는 환율 상승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는 외화차입금 비중이 높다. 12월말 원·달러 환율이 1267원에서 올해 9월말 1344원으로 올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