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ESG 등급 분석

에쓰오일의 '환경(E)' 걸림돌 부각

MSCI, 올해도 'BB' 등급 부여...개선 한 목소리

이호준 기자  2022-12-19 16:45:19
국내외 ESG평가 기관들이 에쓰오일의 등급을 놓고 올해도 큰 시각차를 보였다. 한국ESG기준원(KCGS)은 에쓰오일에 'A' 성적을 부여한 반면에 LGIM 등 글로벌 기관들은 에쓰오일의 점수를 100점 만점에 20점을 주는 등 비교적 박한 평가를 내렸다.

다만 공통적으로 '약점'에 꼽힌 부분이 있었다. 국내외 할 것 없이 에쓰오일의 환경(E) 부문을 지적사항으로 꼽았다. 탄소 배출이 많은 업종 특성상 등급 개선이 만만치 않지만 방치할 경우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에쓰오일이 과연 어떤 변화를 모색할 지 주목된다.

◇환경 부문 점수, 100점 만점에 '2점' 불과

이번 달 글로벌 ESG 평가기관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은 에쓰오일의 ESG 등급으로 'BB'를 부여했다. BB는 총 7개 등급 중 아래에서 3번째로, 정유·가스 부문 43개 기업들 가운데 중위권 수준이다.

에쓰오일은 수년째 BB 등급에 머물러 있다. 탄소 배출의 주범으로 꼽히는 정유업계 특성상 환경 부문이 전체 등급에 악영향을 미치는 탓이다. 실제 MSCI는 에쓰오일이 친환경 기술력(Opportunities in Clean tech) 항목에서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다른 글로벌 평가 기관도 마찬가지다. 영국 최대 자산운용사인 LGIM(Legal & General Investment Management Limited)는 에쓰오일에게 100점 만점에 20점이란 낮은 ESG점수를 부여했다. 지난해 부여받았던 23점보다 더 하락했다.


LGIM 역시 환경 분야 점수를 가장 박하게 줬다. 100점 만점에 2점에 불과하다. 반면 사회 항목은 100점 만점에 42점, 지배구조 54점, 투명성 81점 등이다. 환경 정책에 대한 편가가 전체 점수(20점)를 끌어내린 셈이다.

LGIM은 에쓰오일의 탄소배출 사항을 직격했다. LGIM은 탄소배출의 정도를 기업 가치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나눠 산출한다. LGIM은 자사가 산출한 글로벌 탄소배출 중윗값보다 에쓰오일의 탄소배출량이 더 많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에쓰오일의 탄소 중립 노력도 미흡하다고 봤다. LGIM은 의결권 자문기구 ISS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업의 환경 정책 등을 분석해 미래 탄소배출 정도를 산정한다. LGIM은 에쓰오일이 향후 글로벌 에너지 전환 목표에 부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봤다.

◇기관들 관계 없이 눈높이 충족 못해 'A등급 무색'

눈 여겨볼 만한 점은 우리나라 ESG 평가기관의 생각이다. 한국ESG기준원(KCGS)은 올해 에쓰오일의 ESG 통합 등급으로 'A'를 부여했다. A등급 이상을 받은 기업은 전체 평가 대상의 15% 수준에 그친다.

그런데 내용을 뜯어보면 A등급은 무색해진다. 에쓰오일은 사회(S) 및 지배구조(G)부문에서 A+를 유지했지만 환경 부문이 A에서 B 등급으로 하향됐다. KCGS는 지난 5월 울산 온산공장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를 등급 조정 하향 배경으로 꼽았다.

환경 부문에서만큼은 국적과 관계없이 기관들의 눈높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정유업은 대표적인 '굴뚝산업'으로 철강과 더불어 주요 탄소 배출원으로 꼽힌다. ESG 등급 가운데 환경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게 쉽지 않다.

하지만 에쓰오일의 경우 주요 경쟁사들과 견줘서도 ESG등급이 낮은 상황이다. 특히 올해 KCGS의 환경 부문 평가만 봐도 SK이노베이션과 ㈜GS는 B+ 등급을 받으며 에쓰오일을 앞서고 있다.

ESG 등급은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에 핵심 요소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에쓰오일도 관련 행보에 힘을 쏟고 있다. 향후 2030년까지 탄소배출전망치(BAU) 대비 탄소배출량을 35% 저감한 뒤 2050년 탄소배출 넷제로(Net Zero) 달성을 이뤄낸다는 계획이다.

올해 초부터는 수소 산업 전반에 걸쳐 사업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국영기업 아람코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석유화학 신기술(TC2C), 저탄소(lower carbon) 미래 에너지 생산 관련 연구·개발(R&D) 등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