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의 실적발표는 비슷한 시기 실적을 발표한 다른 금융그룹과 비교해 한층 활기찬 분위기에서 이뤄졌다. 실적발표 이후 이어진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계획 설명이 끝난 뒤 40여분 가까이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전체 질문 수도 17개였다. 다른 금융그룹 실적발표 땐 질문이 10개를 조금 넘겼다는 점을 고려하면 하나금융을 향한 시장의 관심을 알 수 있다. 밸류업 계획에 대한 질문이 주를 이뤘으나 비은행 강화 전략, 부동산 PF 관련 현황, 그룹 차원의 시너지 전략 등 다양한 질문이 나왔다.
◇밸류업 향한 높은 관심…쏟아진 질문들 지난 29일 오후 진행된 하나금융그룹 실적발표는 하나금융 IR본부장을 맡고 있는 박근훈 상무의 사회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 하나금융 CFO 박종무 부사장, 하나금융 CRO 강재신 상무, 하나금융 CSO 양재혁 상무, 하나은행 CFO 김영일 부행장, 하나증권 CFO 김정기 상무가 참석했다.
첫 질문은 예상대로 밸류업과 관련한 질문이었다. 다른 금융지주와의 차별점을 묻는 질문에 박종무 부사장은 크게 세 가지를 꼽았다.
그는 "2027년까지 50%를 도달하는 목표는 타사와 비슷할 수 있겠지만 단계적으로 하겠다는 점이 차별화된 점"이라며 "보통주자본(CET1)비율 13~13.5% 구간에 들어올 땐 주주환원을 더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도 다른 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밸류업 방안이 실질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조직에 내재화하기 위해 위험가중자산이익률(RoRWA)의 KPI 비중을 더 확대한다는 계획도 있다"고 덧붙였다.
CET1비율 13.5%가 넘을 경우 초과 자본을 투자와 주주환원 중 어느 쪽에 투입하겠냐는 질문엔 확답을 피했다. 박 부사장은 "아직 도달하지 못한 비율이라서 그 부분에 대해서는 조금 더 생각을 해봐야 될 것 같다"며 "추후 이사회 논의를 통해 더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워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CET1비율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올해 CET1비율이 13%를 넘는 등 선방하긴했지만 곧바로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진행해야 했는지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박 부사장은 "제일 중요한 건 주주들이 요청하는 시장의 기대 수준을 반영해야 했다"고 대답했다.
하나금융은 기본적으로는 전년도 수준의 주주환원을 유지하는 걸 목표로 삼고있다. 박 부사장은 "특히 주당배당금(DPS)의 경우 하나금융 순이익이 감소하더라도 전년 수준을 항상 유지해왔다"며 "주주환원에 대한 문화로 봐달라"고 말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목표치 10%가 다소 아쉽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ROE가 높은 편인 만큼 목표치를 더 높게 가져갈 여력이 있지 않냐는 질문이다. 박 부사장은 "기초체력과 경상체력을 감안하면 10%는 이제 충분히 넘을 수 있는 수준"이라며 "다만 지속가능한 ROE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비은행 부문 개선 기대"…증권과 카드 선전 일부 계열사의 실적 전망과 부동산 PF 현황 등을 묻는 질문도 나왔다. 비은행 강화 역시 실적발표 때마다 빠지지 않는 질문 가운데 하나다.
자산신탁 관련 실적이 좋아보이는데 향후 타사와 유사한 형태의 손실 가능성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강재신 상무는 "하나자산신탁의 경우 책임준공 확약 사업장이 30개 있는데 현재까지는 소송으로 번진 경우는 하나도 없다"며 "현장 관리를 철저히 하면서 분양률과 공정 관리를 최우선으로 하는 만큼 추가 부실 가능성은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대답했다.
비은행 부문 역시 나아지는 추세다. 박종무 부사장은 "하나증권이 작년 적자에서 벗어나 견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며 "하나카드도 이익이 어느 정도 보완 효과를 거두고 있어서 작년에 비해선 비은행 부문의 실적 개선을 조금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1~3분기 하나증권은 1818억원, 하나카드는 1844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하나증권은 흑자전환에 성공했고 하나카드는 전년 대비 순이익이 44.7%나 증가했다. 지난해 그룹 순이익에서 하나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95%에 이르렀다. 최근 3년 사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2021년 67%, 2022년 81%에서 더 높아졌다. 비은행 강화가 시급한 이유다.
그룹의 전반적인 부동산 PF 현황을 묻는 질문에 강재신 상무는 "절반이 은행이고 개별 사업장 평가를 통해 일부 환입이 있었다"며 "저축은행, 캐피탈의 경우 경영계획 작성 상으로는 추가적인 손실을 인식하려고 하고 1000억원 안팎으로 충당금이 추가로 잡힐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