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태영건설 워크아웃

차선 아닌 최악…법정관리 시나리오 살펴보니

강도 높은 구조조정 수반…수분양자 및 금융사 손실, 협력사 줄도산 우려

이재용 기자  2024-01-08 16:33:08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절차가 지지부진하자 일각에서는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시나리오까지 거론된다. 태영그룹이 앞서 약속한 4가지 자구안을 이행하기로 해 우려는 잦아들었다. 다만 아직 법정관리에 돌입하는 경우의 수를 배제할 순 없다.

법원 주도 법정관리는 채권단이 주도하는 워크아웃보다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수반된다. 수분양자와 금융회사의 손실도 더 크다. 특히 건설사의 경우 수백 곳에 달하는 협력사가 신용경색 리스크에 처할 수 있어, 워크아웃의 차선책이라기 보단 최악의 수에 가깝다.

◇태영, 890억원 추가 투입…정상화 위한 워크아웃 청신호

티와이홀딩스는 8일 태영건설에 지원하기로 했던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중 채권단이 미이행했다고 판단한 890억원을 추가로 태영건설에 투입했다.


앞서 태영건설에 지원할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자금 중 890억원의 해석을 놓고 태영과 채권단은 대립각을 세웠다. 정부와 채권단은 법정관리 시나리오까지 꺼내 들며 태영을 압박했고, 태영이 한발 물러서며 우선 사태가 일단락된 것이다.

시장에서는 최대 고비를 넘겼다는 분위기다. 정부가 추가 자구안을 요구하고 있지만 워크아웃 개시의 가능성이 커졌다. 워크아웃은 채권단의 75% 이상 동의로 일시적 유동성을 겪는 기업에 만기 연장과 자금 지원 등을 해주는 제도다.

개시되면 채권단이 제시한 조건에 기업이 무조건 따라야 해 다른 구제 절차보다 구조조정 진행 속도가 빠른 편이다. 채권단이 주관해 이해 당사자들 간에 자율적인 협상과 조정을 거쳐 대상 기업의 회생을 도모하므로 채권금융기관의 여신 회수도 극대화된다.

금융위 분석에 따르면 기업정상화 성공률도 34.1%로 법정관리 대비 3배 높다. 정상화 기간도 평균 3~5년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다. 태영건설 같은 건설사의 경우 상거래 채권을 변제한 현장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여전한 법정관리 가능성…돌입 시 산업 및 사회적 파장 커

태영이 4가지 자구안을 이행하기로 해 우려는 잦아들었으나 법정관리에 빠질 경우의 수를 지우기엔 이르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법원이 주도하는 법정관리는 가장 강도가 높은 구조조정 단계다.

법정관리에 빠지면 태영건설뿐 아니라 관련 건설산업 등 사회에 미치는 파장이 클 것으로 보인다. 법정관리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모든 채권과 채무가 동결된 후 채무 조정이 이뤄져 금융권뿐 아니라 회사채 보유자 등 모든 채권자가 손실을 부담하게 된다.

특히 건설회사의 경우 법정관리에 돌입하면 현장이 중단돼 수분양자나 협력업체의 피해가 커진다. 공사대금 등 상거래채권이 동결되고, 추가 자금 지원도 이뤄지지 않아 협력사들이 신용경색 리스크에 처할 수 있다.

실제로 태영건설이 법정관리에 빠지면 영세한 업체부터 심각한 경영난에 처하기 시작해 줄도산 사태가 벌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태영건설이 밝힌 협력사는 1075곳(외주 581개, 자재업체 494개)에 달한다.

주채권은행 산은이 "정상화 작업이 중단되는 것으로 인해 초래되는 모든 경제적 피해와 사회적 신뢰 붕괴는 계열주와 태영그룹의 책임"이라고 지적한 점도 이 같은 배경이 작용한다.

공공성이 있는 방송사를 보유하고 있는 태영그룹으로서도 부담이 큰 상황이다. 태영 측도 이를 의식한 듯 "우려를 불식시키는 방법을 계속 고민하고 있다"며 "법정관리에 빠지지 않도록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