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6건 관련기사
KB금융, 외형 성장 일등공신…화려한 재무 라인
흔히 최고재무책임자(CFO) 자리는 가장 보수적 인사 기조를 보이는 곳으로 꼽힌다. 곳간을 속속들이 파악하는 데다 지주사일 경우 계열사의 재무 역시 들여다보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금융권뿐만 아니라 재계 전반에서 순혈주의가 깨지고 있지만 재무 수장 자리만큼은 여전히 최후의 보루로 남겨놓은 곳이 많다. 외부 출신에게만 벽이 높은 건 아니다. 내부인에게도 워낙 진입장벽이 높다. 입사 초반부터 재무 부서에 몸담고 있다가 승진을 거듭한 케이스가 가장 흔하다. 그러나 KB금융은 두 가지 모두에서 조금 벗어나 있다. 외부 출신이 CFO에 오른 전례가 있고 꼭 재무 전문가가 CFO에 오르지도 않았다. ◇현직 부사장 제외하면 계열사 대표 영전 100% KB금융은 현재 CFO인 재무담당 아래 재무기획부와 회계부 그리고 IR본부가 있는 구조다. IR본부 아래는 다시 IR부가...
조은아 기자
핵심 중 핵심…KB금융, 최고전략책임자 계보 살펴보니
대부분의 회사에서 최고전략책임자(CSO)와 최고재무책임자(CFO)가 CEO를 보좌하는 '투톱'으로 꼽힌다. KB금융 역시 예외는 아니다. CFO가 전통의 강자였다면 CSO는 그 중요도와 위상이 최근 들어서 높아졌다. CFO 못지않은 권한과 책임을 지니고 있다. 금융그룹에서 보통 신사업을 비롯한 그룹 전반의 전략은 지주가 담당하고 자회사들은 영업에 힘쓴다. 전략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현실화해 자회사들이 더 돈을 잘 벌 수 있게 해주는 게 지주의 역할인데 그 핵심이 바로 전략 부문이다. 특히 KB금융이 순차적으로 비은행 포트폴리오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전략 부문의 역할이 컸다. 전략 부문이 그룹 M&A를 주도하면 재무 부문은 측면 지원을 담당해왔다. ◇전략 수립부터 대관까지…점차 커지는 전략 부문 역할 KB금융지주는 전략 부문 ...
KB금융, 부사장 면면에 드러난 전략적 중심축
2014년부터 올해까지 10년이 조금 넘는 기간 KB금융에서 부사장을 지낸 인물은 모두 더해 22명(겸직 제외)에 그친다. 평균적으로 1년에 2명의 부사장만 배출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오르기 어려운 자리였던 만큼 역대 부사장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매우 화려하다. 양종희 KB금융 회장, 이동철 전 KB금융 부회장 등을 빼놓을 수 없지만 이들을 제외하고도 전체의 절반인 11명이 계열사 대표를 지냈다. 현직 대표만 해도 이창권 KB국민카드 대표, 이환주 KB라이프생명 대표, 이우열 KB뱅크(옛 부코핀은행) 은행장 등이 있다. 은행권의 보수적 성향으로 볼 때 KB국민은행 출신만 부사장에 올랐을 것 같지만 그렇지만도 않다. 현재 부사장에 올라있는 6명 중에서도 2명이 국민은행 출신이 아니다. △부사장 배출 1순위 부서는…디지털·IT 어느 부문...
KB금융에서 '부사장'의 의미
거의 모든 금융지주엔 사장이 없다. 부회장도 지난해 말을 끝으로 모두 사라졌다. 대부분 금융지주에선 회장 다음이 부사장이다. KB금융은 몇 년 전 회장 후보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한시적으로 부회장 체제를 도입했는데 회장 선임 이후 자연스럽게 없어졌다. 하나금융 역시 금융당국의 지적에 공식적으로 부회장 직급을 없앴다. 자연스럽게 주요 계열사 대표와 함께 지주 부사장들에게 시선이 몰릴 수밖에 없는 구도다. ◇유독 적은 부사장 수, 주목도 높아 주요 금융지주들은 오래 전 사장 자리를 공식 폐지했다. 자리 자체의 애매함 탓에 갈등의 배경이 되곤 했기 때문이다. 금융지주 사장은 회장에 이은 2인자라지만 회장과는 역할이 중복되고 지주 계열사 중 가장 막강한 영향력을 쥔 은행장과도 서열 관계가 명확하지 않았다. KB금융 역시 사장 자리를 없앴는데 2015년 잠시 부활한 ...
양종희 회장 체제, KB금융 작아지고 겸직 줄었다
KB금융지주엔 현재 150여명(계열사 겸직 임원 포함)이 재직 중이다. 최근 10년 사이 가장 적은 숫자다. 한때 180명을 넘겼던 지주 임직원 수가 20% 가까이 줄어든 건 양종희 회장 체제에 접어들면서다. 같은 기간 임원 수 역시 큰 폭으로 줄었다. 지배구조를 안정시키고 외형을 확장하는 등 그룹 전반에 변화가 많았던 과거와 달리 지배구조는 물론 그룹 포트폴리오까지 완성된 지금, 지주사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효율을 중시하는 양종희 KB금융 회장 개인의 성향이 반영됐다는 관측 역시 나온다. ◇10년 동안 바빴던 KB금융, 임직원 수도 꾸준히 늘어 역대 KB금융 임직원 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2020년이다. 당시엔 임직원이 모두 180여명에 이르렀다. KB금융은 2008년 공식 출범해 전체 역사의 절반 이상인 9년을 윤종규 전 회장이 ...
금융지주 평균연봉이 높을 수밖에 없는 이유
은행권은 고액 연봉으로 잘 알려져 있다. 지난해 은행권 임직원의 평균연봉은 1억2000만원에 이르렀다. 2021년 처음으로 1억원을 넘긴 뒤 계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은행권보다 높은 연봉을 받는 대표적인 곳은 증권사다. 다른 업권에 비해 훨씬 철저한 성과급 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증권사를 제외하면 연봉이 높은 곳으로 각 금융그룹의 지주사를 꼽을 수 있다. 이는 당연한 결과다. 금융그룹 회장이 소속돼 있는 데다 그를 보좌하기 위해 각 계열사에서 핵심 인력이 모이는 곳이기 때문이다. 임원 비중 역시 일반 금융사보다 훨씬 높다. ◇전체의 10% 이상이 임원…월등히 높은 임원 비중 지난해 주요 금융지주의 평균연봉은 1억7100만원이었다. KB금융이 1억91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신한금융 1억7300만원, 우리금융 1억6700...